취임 후 처음으로 국제무대에 나선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세계경제 복합 위기 대응을 위한 정책공조 방향을 제안했다. 미·중 무역 갈등, 서방국가들과 러시아 간 정치적 대립 격화 등으로 세계경제가 분절화하고 있는 만큼 공급망 재편 흐름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을 명확히 했다.
추 부총리는 16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3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해 세계경제가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위협 확대 △금융시장 불안 고조 등 복합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고 진단했다.
G20 회원국들도 코로나19 여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등으로 4월 재무장관회의 이후 회복세가 크게 약화됐다는 데 공감했다. 전쟁이 수요-공급 불일치, 공급망 차질, 식량·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는 데다 저소득국과 취약계층에 상대적으로 큰 어려움을 주고 있음도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 부총리는 "자유무역과 다자 경제통상 플랫폼을 통한 세계경제 상호 연결성이 강화돼야 한다"며 "선진국과 개도국의 균형 발전을 위한 통화정책 정상화의 면밀한 조율과 기후변화, 디지털 전환 등 지속 성장을 위한 구조적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공동의장직을 수행 중인 국제금융체제 세션에서는 "글로벌 자본 이동 변동성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회원국 간 명확한 소통과 정책 공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취약국 채무 구제 절차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 등 가시적 성과 도출 노력을 촉구하고, 자본 적정성 검토 등 다자개발은행의 대출 역량 확충을 지지했다.
회원국들 역시 저소득국 부채 취약성 악화를 우려하면서 취약국 채무 부담 완화 노력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합의문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회원국 간 이견을 보이면서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못했다. 대신 의장국인 인도네시아 스리물랴니 인드라와티 재무장관이 전반적인 회의 내용을 요약한 의장 성명으로 대체됐다.
이 때문에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는 특별군사작전을 개시한 이후 G20 협의체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전쟁 발발 후 첫 모임이었던 지난 7~8일 G20 외교장관회의도 공동성명 채택 없이 '빈손'으로 폐막한 데 이어 이번 재무장관회의에서도 같은 기조가 이어지며 신(新)냉전 구도만 확인했다는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도 주요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에서 문제가 비롯했다며 비판 강도를 높였지만 중국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다른 G20 대표들은 러시아 비난에 동참하지 않았다. 다만 지난 4월 재무장관회의나 지난 8일 외교장관회의 때처럼 각종 '보이콧'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추 부총리는 16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제3차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해 세계경제가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위협 확대 △금융시장 불안 고조 등 복합 위기 상황에 놓여 있다고 진단했다.
G20 회원국들도 코로나19 여파가 계속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 등으로 4월 재무장관회의 이후 회복세가 크게 약화됐다는 데 공감했다. 전쟁이 수요-공급 불일치, 공급망 차질, 식량·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는 데다 저소득국과 취약계층에 상대적으로 큰 어려움을 주고 있음도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 부총리는 "자유무역과 다자 경제통상 플랫폼을 통한 세계경제 상호 연결성이 강화돼야 한다"며 "선진국과 개도국의 균형 발전을 위한 통화정책 정상화의 면밀한 조율과 기후변화, 디지털 전환 등 지속 성장을 위한 구조적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공동의장직을 수행 중인 국제금융체제 세션에서는 "글로벌 자본 이동 변동성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회원국 간 명확한 소통과 정책 공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취약국 채무 구제 절차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 등 가시적 성과 도출 노력을 촉구하고, 자본 적정성 검토 등 다자개발은행의 대출 역량 확충을 지지했다.
회원국들 역시 저소득국 부채 취약성 악화를 우려하면서 취약국 채무 부담 완화 노력을 가속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한편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합의문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회원국 간 이견을 보이면서 공동성명을 채택하지 못했다. 대신 의장국인 인도네시아 스리물랴니 인드라와티 재무장관이 전반적인 회의 내용을 요약한 의장 성명으로 대체됐다.
이 때문에 지난 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는 특별군사작전을 개시한 이후 G20 협의체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전쟁 발발 후 첫 모임이었던 지난 7~8일 G20 외교장관회의도 공동성명 채택 없이 '빈손'으로 폐막한 데 이어 이번 재무장관회의에서도 같은 기조가 이어지며 신(新)냉전 구도만 확인했다는 것이다.
이번 회의에서도 주요 서방 국가들은 러시아에서 문제가 비롯했다며 비판 강도를 높였지만 중국과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다른 G20 대표들은 러시아 비난에 동참하지 않았다. 다만 지난 4월 재무장관회의나 지난 8일 외교장관회의 때처럼 각종 '보이콧'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