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송현동 부지 전체를 열린 공간으로 조성, 광화문광장 개장시기와 연계해 올 하반기 임시개방한다고 29일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담장 철거를 착수한 송현동 부지를 찾아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쉼과 문화가 있는 열린 광장’으로 시민들에게 돌려드리겠다고 전했다.
녹지가 턱없이 부족한 서울도심에 서울광장(1만3207㎡)의 약 3배, 연트럴파크(3만4200㎡)와 맞먹는 면적의 녹지가 새롭게 생겨 시민 누구나 누릴 수 있게 된다. 청와대 개방, 광화문광장 개장과 함께 광화문과 북촌 일대가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거듭날 것으로 시는 기대했다.
송현동 부지는 조선시대에 왕족과 명문세도가들이 살았지만, 1910년 일제강점기 식민자본인 조선식산은행 사택이 들어섰다. 광복 후에는 미군정이 접수해 미군 숙소로, 다시 주한미국대사관 직원 숙소로 쓰였다. 90년 가까이 외세에 소유권을 빼앗기며 가슴 아픈 근현대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곳이다. 1997년 우리 정부에 반환돼 비로소 다시 돌아왔지만, 이후 주인이 세 차례 바뀌는 동안 쓰임 없이 폐허로 방치됐다.
광복 후 미군장교 숙소 때부터 77년간 사용됐고 지금은 굳게 닫혀 있는 정문(철문) 개방을 시작으로, 4m 높이의 담장을 낮추는 작업이 본격화된다. 담장 낮추기가 마무리되면 드넓은 송현동 부지가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서울시는 송현동 부지를 ‘쉼과 문화가 있는 열린 공간’으로 조성한다는 목표로 조성계획을 마련했다. 110년 넘게 접근조차 할 수 없었던 공간인 만큼, 인위적인 시설을 설치하기보다는 서울광장처럼 넓은 녹지광장에 최소한의 시설물만 배치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고자 한다.
지난주 오세훈 시장은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발표하며 현재 3.7%에 불과한 서울도심의 녹지율을 15%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밝혔다.
녹지광장에는 광화문~북촌~청와대로 이어지는 지름길(보행로)을 만들어 접근성을 높이고, 차량 통행이 많은 율곡로와 감고당길 대신 이용할 수 있는 녹지보행로도 만들어 걷고 싶은 도심 보행길을 선사한다.
또한 그늘막, 벤치 등 도심에 부족한 휴게시설을 곳곳에 만들어 바쁜 일상에서 잠시 쉬어갈 수 있도록 한다. 공연이나 전시 같은 다양한 이벤트가 열릴 수 있는 공간도 별도로 마련해 도심 속 문화 향유 기회도 제공할 계획이다.
시는 공공기관, 대기업, 금융, 관광 등 도심 중추기능이 집중돼 있는 광화문-시청 일대와, 오래된 주거지가 밀집한 북촌 일대에 대규모 녹지를 확보함으로써 시민과 관광객은 물론, 지역주민들의 정주여건도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송현동 부지는 장기적으로는 도심 내 녹지공간으로 조성되고 일부는 ‘(가칭)이건희 기증관’(대지면적 9787㎡, 전체 부지의 26%)이 건립될 예정이다. 향후 국제설계공모를 통해 정부추진 이건희 기증관의 건립위치를 확정하고, 조화를 이루는 통합 공간계획안을 마련해나갈 계획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활력을 잃고 삭막해진 서울도심을 빌딩숲과 나무숲이 어우러진 ‘녹지생태도심’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라며 "110년 만에 시민 품으로 돌아올 송현동 부지가 바로 '녹지생태도심'을 대표하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 개방, 광화문광장과의 시너지도 기대된다”며 “보존과 규제의 그늘에 가려져 있던 서울도심이 휴식과 여유, 활력이 넘치는 공간으로 재창조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