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식물이 탄소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생활 속에서 탄소를 줄이는 방안으로 주요 정원식물의 탄소 흡수량을 계산해 발표했다. 콘크리트 구조물이 많은 도심에서 적은 토양으로 탄소 흡수원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관심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농촌진흥청은 경관 조성을 위해 많이 이용되는 주요 지피식물 30종을 대상으로 식물별 연간 탄소 흡수량을 비교·분석했다. 지피식물은 토양을 덮어 바람이나 물로 인한 피해를 막아주는 키 50㎝ 이하의 식물이다. 이 식물은 자라면서 나무 아래나 경사면, 건물 옥상 등을 푸르게 가꾸는 역할을 한다.
그 결과 1㎡당 연간 탄소 흡수량(3.0~3.5㎏)이 비교적 높은 식물은 박하·구절초·노랑꽃창포·붓꽃 등 11종으로 나타났다. 해당 식물로 약 200㎡의 옥상 정원을 가꾸면 연간 600㎏의 탄소를 흡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 흡수량이 2.0~2.5㎏인 식물은 두메부추·비비추·호스타 등이다. 톱풀·범부채·꽃댕강나무·제라늄 등의 1㎡당 연간 탄소 흡수량이 1.0~1.5㎏으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건물 옥상이나 벽면에 흙을 넣고 식물을 심을 때 발생하는 비용, 식물로 인한 건물 냉난방 절감 비용 효과를 탄소량으로 환산했다. 또한 지피식물이 언제부터 탄소 흡수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도 계산했다.
분석 결과 옥상 녹화 시스템 재료의 탄소 배출은 1㎡당 연간 25.2㎏, 물 관리 등에 의한 탄소 배출은 0.33㎏으로 나타났다. 옥상 녹화 식물(세덤류·사초류)이 1㎡당 연간 3.7kWh의 건물 에너지를 절감하고 1.8㎏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가정하면 5.8~6.4년 뒤부터는 식물이 탄소 배출원에서 흡수원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탄소 흡수량은 토양과 수분 관리에도 영향을 받았다. 도심지 화단에 많이 심는 붓꽃류는 일반 토양(3.2㎏/㎡)보다 물 빠짐이 좋은 토양(7.2㎏/㎡)에서 탄소 흡수량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구절초 등 10종은 불량한 토양 환경에서 연간 탄소 흡수량 50% 이하로 떨어졌다.
김광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과장은 "생활 주변 녹지율을 높이고 경관 향상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지피식물을 발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식물의 기능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해서 개발함으로써 원예식물의 새로운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는 "도시 내 지가 상승 등으로 녹지 확보가 어려운 가운데 높낮이가 다른 나무와 초화류를 여러 층으로 조성해 입체적으로 가꾸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며 "탄소 흡수원으로서 지피식물의 활용성은 앞으로도 매우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