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29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정부는 이날 피해 소상공인과 고용취약계층 긴급 지원을 위한 '코로나 3차 확산에 대응한 맞춤형 피해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0/12/30/20201230101021261139.jpg)
29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정부는 이날 피해 소상공인과 고용취약계층 긴급 지원을 위한 '코로나 3차 확산에 대응한 맞춤형 피해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5월 정부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했다. 누구나 재난지원금을 신청하면 가구 구성원에 따라 40~100만원을 현금, 신용·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형태로 지급받았다.
9월에 지급한 2차 재난지원금의 주요 대상은 소상공인, 고용취약계층 등이었다. 소상공인은 ‘새희망자금’을 통해 업종별로 100~200만원을 지원받았다. 특수형태근로자, 프리랜서, 구직청년, 학부모 등이 2차 재난지원금을 받았다.
이와 함께 만 16~34세와 만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9월 통신비 중 2만원을 지원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절정에 이르자 정부는 3차 재난지원금 지급을 결정했다.
주요 대상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영업을 할 수 없었던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이다. 특수고용노동자 등 고용취약 계층도 소득안정지원금을 받는다.
지난 29일 문재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정부는 위기에 놓인 국민의 삶을 지키기 위해 9조3000억원 규모의 3차 재난지원금을 신속히 지원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1차 재난지원금 규모는 14조3000억원, 2차 재난지원금은 7조8000억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