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경제, 中企 현주소 ⓷그린뉴딜]환경규제 강화?…“기회 될 수도”

이미지 확대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그린뉴딜’이 환경규제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중소기업계는 “별개로 봐야 한다”며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했다. 단, 현장에서도 해당 정책이 잘 정착되도록 세밀한 설계가 뒷받침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설필수 반월도금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그린뉴딜 같은 친환경 정책은 좋은 정책”이라며 “정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잘 들어줬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만약 일방적인 정책이 만들어지면)현장의 영세 중소기업은 따라가기 벅차다”며 “현장 의견을 충분히 반영되면 정책이 정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잘 흘러가고, 정책수요자인 중소기업도 따라가기 쉬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린뉴딜에 따른 친환경 기조가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과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등 중소기업계가 희망하는 환경규제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냐는 일각의 우려에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별개로 봐야 한다”며 “그린뉴딜은 환경을 생각하면서 경기를 부양하자는 것으로 화관법·화평법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위해 규제개선을 희망하는 것이고, 규제개선 수준도 선진국 수준으로 완화해 달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 본부장은 오히려 그린뉴딜이 또 하나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설 이사장 역시 “(화관법·화평법을)지키지 않겠다는 게 아니라 기준을 따라기기 벅찰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앞서 중소기업계는 화관법·화평법 등 환경규제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화관법이 올해부터 전면 시행된 만큼 연초 진행된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의 간담회에서 핵심 건의 내용이었다. 총선 이후엔 ‘제21대 국회에 전하는 중소기업계 제언’에도 화관법·화평법은 주요 과제로 제시됐다.

디지털캠프광고로고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