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산업별 노동생산성 변동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금융위기 전(2001~2007년) 평균 4.2%에서 금융위기 후(2011~2015년) 2.1%로 2.1%포인트 하락했다. 시간당 부가가치 생산 정도를 나타내는 노동생산성의 증가폭이 금융위기 이후 반토막 난 것이다.
국내 주력산업인 제조업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크게 하락한 영향이 컸다.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금융위기 전 7.9%였지만 위기 후 2.2%로 5.7%포인트나 떨어졌다. 이 기간 서비스업은 2.5%에서 2.3%로 0.2%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제조업 가운데 기술 수준이 높은 고위산업일수록 증가율 둔화가 두드러졌다. 반도체·디스플레이·핸드폰 등 고위기술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금융위기 전 14.5%에서 위기 후 6.8%로 7.7%포인트 하락했다. 기계·자동차·선박 등 중고위 제조업도 같은 기간 6.5%에서 0.0%로 6.5%포인트 내렸다. 중저위 및 저위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 하락폭은 각각 3.9%포인트, 4.4%포인트였다.
고위기술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금융위기 전 9.0%였지만 위기 후 3.3%로 3분의1가량 둔화됐다. 중고위 분야도 이 기간 3.4%에서 -1.3%로 4.7%포인트 떨어졌다. 제조업 전체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4.6%에서 0.1%로 4.5%포인트 하락했다.
한은 관계자는 "주력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큰 폭 하락한 건 경제 전반적인 효율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라며 "주력 산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 하락이 지속되면 한국 경제 미래에 구조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제조업 생산성 개선을 위해 제조업 내, 동일 업종 간,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융합과 핵심 선도산업 발굴, 혁신 창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며 "규제완화와 구조개혁을 통해 노동과 자본이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