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휴대폰 제조사 관련 과세정책을 재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인도 정부는 휴대폰 제조사가 디스플레이 등 주요 부품을 현지에서 조달하지 않는다면 내달부터 11%에 달하는 수입 관세를 내야 하는 정책을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현지에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둔 삼성전자가 경쟁력 약화 등을 이유로 반발하면서 한 발 물러선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 인도법인은 지난 20일 총리실을 비롯한 인도 정부에 “수입산 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관련 부품에 대한 관세 부과를 앞당기는 조치를 유예해달라”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한 바 있다.
또한 이코노믹타임스·인디아투데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탄원서에 “관세 부과 조치를 실시할 경우, 생산비 문제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 S9'이나 ‘갤럭시노트9’ 같은 주력 제품을 인도에서 생산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삼성전자는 최근 2년간 8000억원을 들여 현지 노이다에 연간 생산량 1억2000만대 규모의 스마트폰 공장을 세웠으며, 지난해 준공식을 마친 바 있다. 노이다 공장은 저가 모델 전용 공장이나 갤럭시S9 등 프리미엄 모델도 일부 생산해 서남아·아프리카 등에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내달 공개하는 차세대 프리미엄 스마트폰 ‘갤럭시S10’도 이곳에서 일부 생산할 것으로 전해졌다.
인도 정부가 갑자기 관세를 올리게 되면 삼성전자의 글로벌 스마트폰 전략에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이번 사태는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인 ‘PMP’ 프로그램 스케줄을 앞당긴 게 원인이 됐다.
PMP는 2020년까지 삼성전자와 애플 등 다국적기업이 자국에서 만드는 스마트폰·TV 등 전자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을 완전 국산화하겠다는 전략이다.
그 일환으로 인도 전자정보통신부는 지난 4일 내달부터 디스플레이 부품을 100% 인도 내에서 생산하지 않을 경우, 부품값에 관세 10%를 붙이기로 결정했다. 기본관세(10%)에 추가관세(1%)까지 더하면 11%의 세금이 붙게 된다.
이 같은 예고 없는 정책 도입에 삼성전자의 반발이 의외로 크자 인도 정부가 사태 추이를 좀 더 파악한 뒤 정책의 도입 여부를 최종 결정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프리미엄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업계를 선도하고 있지만, 중국 등 경쟁업체들이 빠르게 추격하는 만큼 가격적인 부분도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인도 정부가 정책 도입을 보류할 수도 있어 좀 더 차분히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뿐만 아니다. 삼성전자는 인도 TV 생산 부문도 최근 정리를 마무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사장은 이날 “인도 TV 공장도 정리를 마무리하고 인력 재배치를 끝냈다”고 말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인도 첸나이 공장의 TV 생산라인을 축소하고 해당 물량을 베트남 공장에서 충당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실시한 바 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사업이 최근 시장 변화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어느 지역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 중국이나 인도 등 주요 시장도 같은 맥락에서 움직이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