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조 달러 규모의 중국 경제는 매년 세계 경제 성장의 1/3 정도를 책임지고 있다. 중국이 재채기를 하면 세계가 감기가 걸린다는 말도 생겼다. 지난해 말부터 가시화 되고 있는 중국의 경기 둔화가 가속화 될 경우, 미국과 유럽 그리고 아시아 모든 국가들에게 주는 충격은 엄청날 것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21일 발표한 지난해 4분기 GDP 성장률은 6.4%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이래 최저의 기록이다. 1분기 6.8%, 2분기 6.7%, 3분기 6.5%에 이어 연속해서 하강 추세를 보여준다. 이는 미국과의 무역 전쟁 여파이기도 하지만 중국 내부의 구조적 문제를 노출 시키고 있다. 중국의 과도한 부채로 인해 소비가 줄어들고 생산과 투자도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지난 2008년 중국의 부채는 GDP 대비 160%였다. 2016년 말 260%, 2018년에는 270%로 추정되고 있다. 신흥국 가운데서 이처럼 급속도로 부채 비율이 증가한 나라가 없다.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중국의 경제 모델은 기본적으로 부채로 투자하고, 투자가 성장을 견인하는 구조였다. 금융 위기 이후 다른 나라들이 정부 지출을 통해 경기 진작에 나선 반면, 중국은 은행을 통해 신규 주택과 기반 시설, 공장 등의 건설에 필요한 막대한 자금을 기업에게 빌려줬다. 이젠 중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 때문에 부채가 중국의 성장을 견인하기 어려워진 상태이다. 그렇다고 경기 둔화를 목격하면서 당장 부채 감축(디레버리징)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도 힘들다. 이미 둔화되고 있는 경제 성장률이 더욱 침체된다면 고용 문제와 사회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중국이 6% 중반 아래로 성장이 둔화됐다고 하지만, 이는 수치 상으로 세계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성장세이다. 하지만 정부, 기업, 개인들의 막대한 부채를 줄여나가기 위해선 중국의 고도 성장이 이대로 멈추어서는 안되는 상황이다. 블룸버그는 2022년까지 중국의 정부, 기업, 개인 총 부채가 GDP 대비 300%를 넘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부채 폭탄이 커지면 커질수록 그만큼 세계 경제는 위험에 빠지게 된다.
중국의 내수 침체로 현지 수요가 줄면서 애플, 스타벅스 등 미국의 대표적 기업들도 매출이 줄며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세계 여행 업계와 명품 업체들은 그들의 최대 고객인 중국인들이 지갑을 여는 것을 더욱 주저할 것이라고 걱정하고 있다. 중국에 수출 의존도가 높은 싱가포르, 홍콩, 대만, 태국 등 아시아 국가들도 타격이 클 것으로 보여, 중국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새해 벽두부터 경기 부양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 경제의 경착륙을 막기위해서이다 .하지만 미국과의 무역 전쟁, 부채 증가 등 걸림돌이 너무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