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성장이 제한적인 군수사업보다 민수사업에 집중해 2030년까지 항공우주산업 매출을 20조원 규모로 키우고 강소기업 1000여개를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내놨다.
김조원 KAI 사장은 17일 서울 공군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동차와 조선업 등 우리나라 주력 제조업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육성을 통해 수출 활로를 찾고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같은 비전을 내놨다.
김 사장은 지난해 KAI가 협력업체를 발굴하는 등 국내 항공산업의 양적 발전에 주력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2018년은 KAI 중심의 가내수공업인 항공우주산업이 새로운 부흥을 일으키는 원년이 아니었나 생각한다"며 "이런 기조가 지속돼 빠른 시일 내 1000여개 정도 항공우주업 종사 업체가 늘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KAI에 따르면 지난해 발굴한 110여개 업체 중 50여개의 회사와 정식 계약을 체결했으며, 나머지 업체는 지원·육성 등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KAI가 군수공장에서 벗어나 민항 위주의 항공우주업체로 거듭나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군수사업의 경우 새로운 성장동력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특히 고정익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주력하는 훈련기 등은 향후 무인항공기로 대체될 경우 시장 자체가 사라질 수도 있다.
김 사장은 이를 위해 민수 위주의 사업구조를 갖추기 위해 주력해왔다. KAI의 사업구조는 설립 초기 방산분야에 대부분 의존해 왔지만 현재는 민수부문이 더욱 커졌다. 지난해 수주한 약 2조9000억원 중 민수기체부품 분야는 62%(1조8000억원)에 달한다.
김 사장이 민수에 주력하는 것은 단순히 수주 전망 때문은 아니다. 그는 KAI의 고착된 문화를 바꾸기 위해서라도 치열한 경쟁의 민수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지난해 수주에 실패한 미국 고등훈련기 사업 당시 상황을 이야기 하며 “록히드마틴 보다는 보잉처럼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록히드마틴과 컨소시엄을 이뤄 참여했던 KAI는 보잉-사브 컨소시엄의 공격적인 가격정책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김 사장은 “예컨대 우리가 250원에 만들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록히드는 150원에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고, 보잉은 이것을 100원에 만들겠다고 한 것”이라며 “보잉은 민간회사와 경쟁하며 끊임없이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왔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KAI는 앞으로 미래 성장을 위해 전략 수주 품목을 집중적으로 강화해 민수 기체 구조물 분야에서 수퍼 티어원(Tier-1)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와 함께 민항기 시장의 성장에 맞춰 코리아 브랜드의 민수 완제기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민수 완제기에 대해 “남북 경협 등으로 북한은 물론 동북3성이 개방되면 자동차 철도 뿐 아니라 항공 수요도급격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이런 시점에서 민수완제기를 생산해 공급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민수완제기에 대해서는 사실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며 “보잉이나 에어버스 등 고객사의 면허생산을 우선 추진하며 향후 독자 항공기 개발 기술 확보도 고려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KAI의 비전을 이루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김 사장은 우리나라 항공우주산업 확대를 위해서는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 및 체계적인 육성전략 수립,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과 유럽 등은 적극적인 정부차원의 육성을 통해 보잉과 에어버스라는 항공우주업체를 만들어 냈다”며 “항공우주산업은 한 회사가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협력업체를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조원 KAI 사장은 17일 서울 공군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동차와 조선업 등 우리나라 주력 제조업이 어려워지는 상황에서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육성을 통해 수출 활로를 찾고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같은 비전을 내놨다.
김 사장은 지난해 KAI가 협력업체를 발굴하는 등 국내 항공산업의 양적 발전에 주력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2018년은 KAI 중심의 가내수공업인 항공우주산업이 새로운 부흥을 일으키는 원년이 아니었나 생각한다"며 "이런 기조가 지속돼 빠른 시일 내 1000여개 정도 항공우주업 종사 업체가 늘어나길 바란다"고 말했다.
KAI에 따르면 지난해 발굴한 110여개 업체 중 50여개의 회사와 정식 계약을 체결했으며, 나머지 업체는 지원·육성 등을 이어가고 있다.
김 사장은 이를 위해 민수 위주의 사업구조를 갖추기 위해 주력해왔다. KAI의 사업구조는 설립 초기 방산분야에 대부분 의존해 왔지만 현재는 민수부문이 더욱 커졌다. 지난해 수주한 약 2조9000억원 중 민수기체부품 분야는 62%(1조8000억원)에 달한다.
김 사장이 민수에 주력하는 것은 단순히 수주 전망 때문은 아니다. 그는 KAI의 고착된 문화를 바꾸기 위해서라도 치열한 경쟁의 민수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는 지난해 수주에 실패한 미국 고등훈련기 사업 당시 상황을 이야기 하며 “록히드마틴 보다는 보잉처럼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당시 록히드마틴과 컨소시엄을 이뤄 참여했던 KAI는 보잉-사브 컨소시엄의 공격적인 가격정책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김 사장은 “예컨대 우리가 250원에 만들 수 있는 것이 있다면 록히드는 150원에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고, 보잉은 이것을 100원에 만들겠다고 한 것”이라며 “보잉은 민간회사와 경쟁하며 끊임없이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왔기 때문에 이것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KAI는 앞으로 미래 성장을 위해 전략 수주 품목을 집중적으로 강화해 민수 기체 구조물 분야에서 수퍼 티어원(Tier-1)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와 함께 민항기 시장의 성장에 맞춰 코리아 브랜드의 민수 완제기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민수 완제기에 대해 “남북 경협 등으로 북한은 물론 동북3성이 개방되면 자동차 철도 뿐 아니라 항공 수요도급격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이런 시점에서 민수완제기를 생산해 공급한다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민수완제기에 대해서는 사실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며 “보잉이나 에어버스 등 고객사의 면허생산을 우선 추진하며 향후 독자 항공기 개발 기술 확보도 고려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KAI의 비전을 이루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 김 사장은 우리나라 항공우주산업 확대를 위해서는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 타워 및 체계적인 육성전략 수립,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과 유럽 등은 적극적인 정부차원의 육성을 통해 보잉과 에어버스라는 항공우주업체를 만들어 냈다”며 “항공우주산업은 한 회사가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협력업체를 육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