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절벽, 1인 가구, 늑장 결혼, 출산 기피, 이혼 급증 등 인구·결혼 문제가 21세기 대한민국의 국가적 이슈다. 이 난국을 타개할 특단의 정부 정책은 없는가?
그 타개책이 관료도, 정치가도 아닌 디자이너 출신 소설가의 현대 순수문학 작품에서 나왔다.
저자가 제시한 정책의 핵심은 인간의 본능을 자극하는 것.
이 법률이 시행되면 과연 인구 절벽이 해소되고 육아에 신바람이 나서 대한민국이 풍성해질 수 있을까?
저자는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는데 사랑도 10년이면 변하지 않을까?”라는 평범한 질문에서 착안했다.
저자는 “부부는 사랑해야 부부인가?”라는 질문도 동시에 던진다. 이 평범한 질문의 정답은 무엇일까? 정답은 사랑이다. 이열치열(以熱治熱)이 아니라 이애치애(以愛治愛)로 ‘사랑은 사랑으로 다스린다’는 것.
저자는 본인의 4번째 장편소설인 이 책에서 이런 발칙한 정책을 사회규범으로 내놓았다. 아니, 이런 사회규범을 사랑으로 설명했다.
연인으로 10년이든, 부부로 10년이든, 아니 사랑 없이 산 10년일지라도 남녀가 만나 사랑이란 이름으로 인생을 ‘공유’해 왔다면 이 시점에서 서로에게 “나 사랑해? 아직도?”를 질문해보라는 것이다. ‘또다시 부부’인지 결정하라고 주문한다. 혹시 문제가 있다면 그 치유는 ‘이애치애’다.
이 소설은 제목에서부터 지극히 도전적이고 자극적이다. ‘십년마다’라는 수식어는 조건을 앞세우기 때문에 거북하다. ‘이혼’이란 단어는 말 자체가 부정적인 인상이다. 게다가 관습 파괴적이다. ‘청소년 불가’ ‘19금’ 취급받기 쉽다. 과연 그럴까?
이 소설은 역설적으로 ‘순수한 사랑’, ‘영원한 결혼’을 지향한다. 사랑에 얽매이지 않아야 사랑이다. 때론 놓아줘야 사랑이다. 내 배우자도 어느 누군가를 사랑할 자유가 있다고 넌지시 암시하기도 한다. 사랑의 유효기간 ‘10년의 고비’에서 당신은 어떤 선택을 할 것인가? 9월 추석을 맞아 인터넷과 전국 서점에서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