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김영철 서한 보고받고 폼페이오 방북 취소”

2018-08-28 09:00
  • 글자크기 설정

WP, 고위관계자 인용 보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서한을 보고 받고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의 북한 방문 취소를 결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로이터 = 연합]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의 서한을 보고 받고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방북을 취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는 27일(현지시간) 2명의 고위당국자를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김 부위원장의 서한에 대해 폼페이오 장관으로부터 보고 받고 방북 취소 결정을 했다고 보도했다.
WP는 폼페이오 장관이 방북 사실을 공개한 뒤 수시간 뒤에 김 부위원장의 서한을 받았다고 밝혔다. WP는 서한의 내용이 불분명하지만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이오 장관이 방북 취소 결정을 할만큼 적대적이었다고 덧붙였다.

조시 로긴 WP 칼럼니스트는 기고문에서 당국자들이 김 부위원장의 서한이 어떻게 전달됐는지 밝히기를 거부하고 있으나 유엔 주재 외교관을 통한 ‘뉴욕 채널’을 통한 대화가 늘고 있다고 밝혔다. 기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협상이 잘 되지 않고 있다고 밝힌 것은 커다란 반전이라고 해석하기도 했다.

기고문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에서 시작한 협상을 포기하려 하지는 않지만 북한이 긍정적인 답을 내놓지 않을 경우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과 같이 제재를 확대하거나 다른 수단을 통해 북한 정권에 압력을 강화하기를 원하는 측에 동조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 당국자는 “대통령이 끝났다고 받아들일 수 있을지 모르겠다”면서도 “북한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지 않는다면 볼턴 보좌관이 트럼프 대통령에 ‘잘못했다고 받아들일 필요 없이 약속을 지키도록 압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기고문은 전했다.

기고문은 폼페이오 장관이 북한을 방문해 단계적인 조치에 대해 협상을 할 예정이었던 가운데 볼턴 보좌관과 짐 매티스 국방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 종전선언을 제기하는 데 반대했다고 복수의 당국자들이 밝혔다고 전했다. 이들은 북한이 먼저 선언을 하고 이것이 검증된 이후 미국이 이후 합의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볼턴 보좌관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트윗을 올릴 당시 회의가 이뤄진 방에 없었으며 처음부터 이번 방문에 반대했었다고 기고문은 밝혔다.

기고문은 볼턴 보좌관이 회담을 포함한 합의가 북한에 취약점을 드러내고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믿고 있고 매티스 장관은 그것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종전선언이 한반도에서 한국군과 미군의 준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가운데 국무부는 종전선언이 정치적인 조치일 뿐 나중에 이뤄질 평화협정에 미치지 못하는 선언이라고 반박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북한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서 정확히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정부 내에서 일고 있는 가운데 정부 기관 내에서 얼마나 북한이 반발하고 있고 진전이 없는데 대해 측정할 지표에 대해서도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어 단일한 진단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기고문은 지적했다.

기고문은 또 트럼프 정부 내에서 문재인 정부가 점점 독자적으로 움직이려 하고 있고 미국의 허락 없이 북한과 협력을 강화하려 한다는 우려가 있다며 문 대통령이 내달 방북을 앞두고 연락사무실 개소와 다른 협력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고문을 북핵 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고위 당국자가 다니엘 슈나이더 스탠포드 교수에게 “한국과 큰 문제가 다가오고 있다”며 “한국이 진행하기로 결정한 시점에 이르렀다. 우리와 같이 행동할 필요를 느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로긴 칼럼니스트는 몇몇 당국자들은 사적으로 김 위원장이 비핵화하기로 결정했는지에 의혹을 갖고 있어 북한 정책의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실패로 돌아가 다른 대안을 생각해야 할 때까지는 계속돼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생각이었다고 밝혔다. 북핵 협상에 나섰던 조엘 위트는 트럼프 정부가 순서 같은 문제에 대해 진전을 이루기보다는 폼페이오와 비건 등이 협상을 타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북한이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서 정확히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정부 내에서 일고 있는 가운데 정부 기관 내에서 얼마나 북한이 반발하고 있고 진전이 없는데 대해 측정할 지표에 대해서도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어 단일한 진단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기고문은 지적했다.

기고문은 또 트럼프 정부 내에서 문재인 정부가 점점 독자적으로 움직이려 하고 있고 미국의 허락 없이 북한과 협력을 강화하려 한다는 우려가 있다며 문 대통령이 내달 방북을 앞두고 연락사무실 개소와 다른 협력 사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고문은 북핵 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고위 당국자가 다니엘 슈나이더 스탠포드 교수에게 “한국과 큰 문제가 다가오고 있다”며 “한국이 진행하기로 결정한 시점에 이르렀다. 우리와 같이 행동할 필요를 느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로긴 칼럼니스트는 몇몇 당국자들은 사적으로 김 위원장이 비핵화하기로 결정했는지에 의혹을 갖고 있어 북한 정책의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지만 실패로 돌아가 다른 대안을 생각해야 할 때까지는 계속돼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생각이었다고 밝혔다. 북핵 협상에 나섰던 조엘 위트는 트럼프 정부가 순서 같은 문제에 대해 진전을 이루기보다는 폼페이오와 비건 등이 협상을 타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기존 입장을 가지고 협상에 나서야 하고 폼페이오 장관이 필요하면 나설 준비가 돼 있어야 한다”며 “누가 먼저 나서야 하는지 논란을 벌이는 것은 멍청한 짓이다. 우리는 그들이 먼저 하기를 바라고 그들은 우리가 먼저 하기를 바라는데 그 사이에서 양측이 동시에 가야 한다”고 했다고 기고문은 전했다.

기고문은 폼페이오 장관과 비건 대북정책특별대표가 트럼프 대통령에 진전을 보일 수 없게 되면 수주 내에 대통령이 북한과 한국과 긴장이 높아질 위험이 있는 보다 강한 태도를 허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현재는 김 위원장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기고문은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