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에 바람 잘 날이 없다. 이번에는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의 외유성 출장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행내가 시끄럽다. 문제는 우리은행이 외풍에 휘둘린 것이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점이다. 일각에서는 우리은행이 정치권 안팎의 공격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완전 민영화뿐이라는 반응이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원장은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던 2015년 5월 우리은행 측의 부담으로 2박 4일간 중국 충칭과 인도 첸나이로 출장을 다녀왔다. 항공비와 숙박비 등 체류비용은 총 480만원이었다.
정작 입장이 곤란한 쪽은 우리은행이다. 괜히 입장을 냈다가 여론이 악화될 수 있는 데다가 현직 금감원장과 관련된 사안이라 언급 자체가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지난해에도 구설수에 오르며 정치권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주요 주주로 참여한 케이뱅크 특혜 인가와 신입 행원 채용비리 의혹이 불거진 바 있다. 겨우 악재를 잠재웠다고 판단했는데 이번에는 감사기관과 정치권이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는 사안에 이름을 올렸다.
금융권에서는 정부가 우리은행의 지분을 모두 처분할 때까지 외풍에서 벗어나기 힘들다고 보고 있다. 과거 대기업 비자금 사건이나 정부 사업 관련 특혜대출 의혹이 불거질 때마다 우리금융과 우리은행의 이름이 오르내렸던 것도 같은 이유다.
완전 민영화와 지주사 전환이 어느때보다 시급한 상황이지만 금융당국은 손을 놓고 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 민간위원장 자리에 박영석 서강대학교 교수가 앉으면서 예금보험공사(예보) 지분 매각 문제 등을 논의할 여건이 마련됐지만 좀처럼 속도를 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 소유의 은행이다보니 입김에 따라 대출 특혜나 채용 청탁 등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며 "우리은행이 자생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지분정리와 지주사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