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 따르면, 지난 1981년 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신고제도'를 도입한 이후 37년 만에 기업연구소 4만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연구소는 1981년 첫해 53개를 시작으로, 2004년 1만개, 2010년 2만개, 2014년 3만개를 돌파하는 등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증가세에 힘입어 산업계는 국가 전체 R&D 투자의 77.7%, 연구인력의 69.7%를 담당하며 국가 R&D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이 지난 2004년 9387개에서 3만8398개로 4배 이상 증가하며, 연구소 성장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연구소는 같은 기간 883개소에서 1602개소로 1.8배 증가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4년 91.4%에서 96.0%로 상승했다. 이는 종업원 5인 이상 중소기업체 15만4000개 중 25%에 해당하는 수치다.
산기협 관계자는 "기업연구소가 양적 성장을 이루면서, 앞으로는 산업계 R&D 지원방향이 '질적 성장'을 중심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현재 4만개의 연구소 중 30%에 해당하는 1만2000여개의 연구소가 설립된 지 3년 미만의 신생 연구소로, 선진 연구환경의 정착과 성과 창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김이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기업연구소 4만개 돌파는 산업계 저변에 R&D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자리잡고, 양적으로도 성숙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며 "앞으로는 이를 어떻게 질적으로 성장시키느냐가 중요하므로, 이를 담을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국가 기술혁신체계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 부회장은 "국가R&D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할 때, 산업기술의 역량에 따라 혁신성장의 성패가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정부는 기업에 대한 지원을 기술역량 기반으로 전환하는 동시에 산학연·개방형 생태계 구축에 나서야 하며, 기업도 R&D에 대한 투자를 더욱 늘리고, 대·중소기업간 기술협력 등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