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12월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되면서 한국은행의 움직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이 금리(현재 연 1.00~1.25%)를 이번달에 이어 내년에도 추가 인상할 경우, 한·미 간 금리역전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은행은 선제적으로 금리인상을 해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된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12~13일(현지시간) 연방기금금리(한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문제는 미국이 내년에도 3차례 추가 금리인상을 예고한 반면, 한은은 1~2회에 그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는 데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에 맞춰 한은이 금리인상을 단행하기는 힘들어 미국이 예상대로 금리인상을 하면 양국 정책금리가 역전된다.
시장에서는 미국이 완전고용 수준의 고용시장과 세계 경제의 성장세, 탄탄해질 조짐을 보이는 인플레이션 등이 맞물려 충분히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여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 금리가 한국보다 높으면 이는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경제규모가 크고 금리도 높은 곳으로 자본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흥국인 한국으로서는 오랜 기간 금리역전 상태를 방치하기 부담스러운 상황에 놓이게 되는 셈이다.
지난달 6년 5개월 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한 한국은행은 추가 금리인상에 최대한 신중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금융시장에서는 이주열 총재의 임기가 끝나는 내년 3월 이전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추가로 금리를 움직일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1월 연초와 설날 등 긴 연휴가 있는 달에는 금리 인상이 적었던 것이 사실이지만, 새 총재 취임 후 수개월 간 금리를 동결했던 전례나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치른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신임 총재가 추가 인상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게다가 연준이 이달 인상 이후 또다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은 시점은 내년 3월 21일이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 역전을 최대한 늦추기 위해서라도 한은에서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이유다. 이주열 총재 퇴임 전 금통위는 내년 1월18일과 2월27일 열린다.
금융권 관계자는 "고용 부진과 반도체산업 의존도 등을 감안할 때 추가 금리인상을 지켜보자는 시각이 있고, 자칫 경기여건 등이 충분히 무르익지 않은 상태에서 떠밀리듯 해야 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면서도 "금리 정상화 여건이 충분히 성숙해졌고, 신임 한은 총재 취임 후 곧바로 금리에 손을 대기는 부담이 큰 만큼 이주열 총재가 퇴임 전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