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차이나리스크] 한·중 차세대 학자들, 동아시아 중국연구 위한 토론의 장 열다

2017-11-23 19:00
  • 글자크기 설정

복합리스크·중국연구·한반도 포럼

전문가들, 3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

이희옥 소장 "미래지향 관계 모색"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가 주최하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후원한 ‘성균중국연구소 2017 동아시아중국학대회’가 지난 17일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복합차이나리스크 탐색 △동아시아 중국연구 △성균 차세대 한반도 포럼 ‘중국과 신북방정책: 기회와 리스크’ 등 3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사진=성균중국연구소 제공]


동아시아 중국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한 한·중 차세대 학자들 간 열띤 토론의 장이 열렸다.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가 주최하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후원한 ‘성균중국연구소 2017 동아시아중국학대회’가 지난 17일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복합차이나리스크 탐색 △동아시아 중국연구 △성균 차세대 한반도 포럼 ‘중국과 신북방정책: 기회와 리스크’ 등 3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이희옥 성균중국연구소장은 “일반적으로 중국은 쟁점이 있을 때 ‘논쟁은 보류하고 공동으로 개척하자(擱置爭議, 共同開發)’라는 입장을 보인다”면서 “이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는 다른 문제를 먼저 해결하자는 봉인의 문제이고, 미래지향적인 한·중 관계 방안을 모색하는 길이기도 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소장은 “해당 프로젝트는 파일럿 형태의 연구로 최종적으로 차이나리스크 연구 플랫폼을 만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현재 학계는 양적 연구를 하기에는 취약한 구조에 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연구 플랫폼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복합차이나리스크 탐색’의 제1세션에는 국내 중국 전문학자 11명이 참석해 중국의 정치·대외관계·에너지·사회와 문화 등의 리스크가 서로 어떻게 연동돼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하남석 서울시립대 교수는 “차이나리스크에 대한 논의가 국내외에서 많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하지만 체계적인 분석이 아직 없고 대부분이 경제 중심으로 이뤄져 복합적인 부분은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중국 전체가 아닌 지역별 리스크도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토론자로 참석한 박철현 국민대 교수는 “중국 특정 지역에 사회문화적으로 형성된 습성 때문에 지역별로 서로 다른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지역별 연구모형 필요성을 언급했다.

제2세션 ‘동아시아 중국연구’ 에서는 한·중·일 3개국의 중국 전문가 5명이 주제발표를 통해 중국에 대한 각국의 다양한 시각과 전망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또한 동아시아 국가들이 서로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자는 것에 입을 모았다.

제3세션 ‘성균 차세대 한반도 포럼’은 한국과 중국의 젊은 학자 11명이 모여 지난 1년간 한반도 주요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의견을 교류해 양국의 의견 차이를 좁혀보자는 취지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렸다.

포럼에서는 ‘중국과 신북방정책: 기회와 리스크’라는 대주제 아래 현재 양국의 공통 정치안보 이슈 ‘북핵 문제 해결법’, 한국 정부의 ‘신북방정책’과 시진핑 집권 2기의 '일대일로(一帶一路, 육·해상 실크로드)' 간의 적합점 모색 등의 소주제에 대한 양국 차세대 학자들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이 소장은 “사드 문제는 한쪽은 입구론, 한쪽은 출구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원론적인 생각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면서 “양국이 어떠한 목표와 태도를 가지냐에 따라 한·중 관계도 굉장히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