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협상 타결 이후 이란에 대한 서방 국가의 경제 제재가 상당 부분 해소된 가운데 이란이 항공 사업의 확장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파이낸셜 트리뷴 등 외신이 16일(이하 현지시간) 보도했다. 유럽 등 세계 각국이 이란 항공 사업에 주목하는 가운데 미국 정부의 추가 제재가 걸림돌이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외신에 따르면 17일부터 이란 테헤란에서 사흘간 열리는 제1회 국제항공산업박람회에는 공항 활주로용 전원 공급 장치를 제작하는 독일 업체와 중국의 항공기 견인 차량 제작 업체 등 전 세계 100여 개 업체가 참가해 이란의 항공 산업에 대한 관심도를 증명했다.
그러나 지난 2015년 핵협상 타결을 계기로 경제 제재가 해소되면서 항공산업이 이란의 새로운 먹거리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여러 차례 나왔다. 실제로 이란 정부는 지난 1월 프랑스 항공기 전문업체 에어버스의 항공기 114대에 대한 구매 계약을 체결한 뒤 최근 미국 보잉사와 일본 MRJ 여객기 등의 구매를 검토하고 있다.
이란의 민간 항공기구의 알리 아베드자데 대표는 이란 최대통신사 메흐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이란은 역내 가장 많은 항공 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련 성장률도 지역 평균보다 3~4%를 상회한다"며 "이란의 항공 산업은 미국의 제재 조치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의 능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발언은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새로운 반(反)이란 제재를 적용해 항공기 판매를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승인한 데 대한 이란의 입장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알리 대표는 "이란 전문가들이 항공기 정밀 검사 및 유지 보수 등 항공 산업 관리에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고 있다"며 "항공기와 헬리콥터 설계·제작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고용률과 잠재적 성장률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추가 제재 카드를 만지작거리는 상황에서 미국과의 관계 악화가 이란 경제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BBC 등 외신이 최근 보도에 따르면 미 재무부는 지난 14일 미국 은행에 대한 사이버 공격에 가담했거나 이란 혁명수비대를 도운 혐의로 이란 기업 4곳과 개인 7명에 경제 제재를 단행하기로 했다.
이번 제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핵협상을 부정적으로 판단, 파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어서 추후 양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실제로 오는 20일 유엔총회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의 유엔 연설이 예정돼 있는 만큼 미국과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느냐에 따라 이란의 운명이 달려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