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우리 주력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재 우리나라는 가전, 통신기기, 자동차 등 주요 업종 품질과 기술면에서 중국에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5년 뒤면 그 격차가 대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전의 경우 한국을 100점으로 뒀을 때 현재 중국 품질 경쟁력은 90점이다. 5년 후에는 중국 가전 기술이 우리와 같은 100으로 어깨를 나란히 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통신기기는 중국 품질 경쟁력이 90에서 95점, 기술 경쟁력은 92점에서 95점으로 오른다. 자동차는 현재 품질 및 가격경쟁력이 각각 80점과 85로 우리나라보다 15∼20점 낮지다. 이 역시 5년 후에는 각각 90과 95로 오르며 격차는 10점 내외 경합을 벌인다.
신산업 대응 경쟁력에서는 5년 후면 철강(95→98점), 석유화학(95→100점), 가전(90→97.5점) 등 다수 업종에서 우리나라와 중국 간에 거의 차이가 없다.
가격경쟁력은 이미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우리나라가 중국에 뒤처져 있다. 다만 5년 후에는 격차가 다소 좁혀질 것으로 산업연구원은 분석했다.
산업연구원은 이처럼 중국이 빠르게 우리나라를 추격하는 원인에 대해 다양한 형태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을 꼽았다. 실제로 중국은 지난해부터 제13차 5개년 계획과 중국 제조 2025 전략 등 양적‧질적 산업 고도화에 잰걸음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이미 대부분 산업에서 중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우리나라를 넘어섰다. 자동차는 우리나라가 2013년까지 꾸준히 중국보다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2014년부터는 상황이 역전됐다.
산업연구원은 “중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신산업과 신제품을 개발해야 한다”며 “각종 규제 완화와 제도 정비 등 우리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