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코트라(KOTRA)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우리나라는 미국의 화장품 수입국 4위를 차지했다. 1∼3위는 프랑스, 캐나다, 중국이었다.
지난해 미국 화장품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순위는 프랑스, 캐나다, 영국, 중국에 이어 5번째로 높았다.
하지만 한국 화장품은 지난해 4분기에 비해 60.7%의 급성장을 보이며 순위가 1단계 올라섰다.
이는 수입 화장품 전체 평균 성장률 4.1%를 15배 웃도는 수치로, 증가율로 따지면 스웨덴(271.5%) 다음으로 높다.
상위권 수입국 중 프랑스와 중국은 각각 8.1%, 37.7% 성장세를 보인 반면, 캐나다와 영국은 16.4%, 20.1% 감소했다.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 조사 결과 미국 내 2번째로 큰 식품·생활잡화 유통기업인 '타깃'에는 2013년 아모레 퍼시픽의 라네즈가 진출한 이후 현재까지 8개 사 이상의 한국 업체가 입점·판매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글로벌 대형 화장품 백화점인 '세포라'에서는 14개 사 이상 150여 개 한국 화장품을 온·오프라인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브랜드가 직접 진출하는 경우도 있지만, 현지 업체가 한국에서 제품을 생산해 자사 상표를 붙여 파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이나 제조업자개발생산(ODM)도 활발하다.
우리나라 화장품 제조사와 거래하는 미국 기업들은 한국 업체의 장점으로 기술력, 빠른 대응속도, 가격경쟁력을 꼽았다.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화장품 브랜드 L사의 대표는 "한국 제조사들에 간략한 화장품 항목과 주제, 성분만 간단하게 보내도 일주일 안으로 샘플이 도착할 만큼 대응속도가 빠르다"며 "적은 수량에도 가격이 저렴한 것 역시 장점"이라고 말했다.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 관계자는 "장기간 미국 기업과 거래하려면 제조사만의 특징과 강점을 키워야 한다"며 "대만과 중국 화장품 제조사의 성장세가 가팔라 가격경쟁력만 내세운다면 미래시장에서 생존하기 어렵다"고 조언했다.
eun@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