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에드워드 마키(민주·매사추세츠) 상원의원과 테드 류(민주·캘리포니아) 하원의원이 발의한 '핵선제사용제한법안'을 뒷받침하는 청원이다.
이 법안은 의회의 전쟁선포 없이 핵무기로 선제타격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미 대통령이 가질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법안 발의에 이어 청원까지 의회에 접수된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핵 능력 강화를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특히 그는 대선 토론에서 핵선제 사용을 배제하지 않았고, 당선인 때는 테러리스트들을 상대로 한 핵 공격을 시사한 바 있다.
또 핵과 미사일 도발을 이어가는 북한에 대해 군사옵션을 거론하며 지난달 "북한과 결국 심각한, 심각한 충돌을 빚을 가능성이 있다"고 하면서 이 '충돌'이 핵전쟁으로 풀이되기도 했다.
청원 운동을 주도한 마키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이 미국과 우리의 군대, 동맹에 대한 핵 공격에 대응하는 분명한 권한을 갖는 게 중요하지만 어떤 대통령도 의회의 승인 없이 핵 선제타격 권한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한 공격은 비윤리적이고 과도하며, 미국을 파괴적인 핵 보복의 위협에 노출시킨다"고 덧붙였다.
마키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러시아 등에 대해 했던 발언들을 거론하면서 "핵선제사용제한법안은 트럼프 행정부에서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며 "청원 역시 트럼프 대통령이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미국인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shin@yna.co.kr
(끝)
[연합뉴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