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내달 23일 정기총회…차기 회장 선출·쇄신안 논의

2017-01-30 13:15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주요 회원사의 잇단 탈퇴로 와해 위기에 몰린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다음달 23일 차기 회장 선출과 쇄신안 마련을 위한 정기총회를 연다.

정기총회는 1년에 한 번 열리며, 참석 대상은 회원사 600여곳으로 과반 참석에 과반 찬성이 안건 의결 요건이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전경련은 이번 정기 총회에서는 2월 사임할 뜻을 밝힌 허창수 전경련 회장(GS그룹 회장)의 후임을 정하는 문제가 주요 안건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그러나 후임 회장이 정해질지는 아직 불투명 하다.

그간 전경련 회장은 만장일치로 추대돼 왔기 때문에 반대가 있거나 사회적 물의 등에 연루가 되어서도 안 되는 등 여러 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하기 때문이다.

또 이날 총회에서는 전경련 쇄신안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은 총회 전까지 쇄신안을 마련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혀왔다.

하지만 회원사 대상 비공식 모임과 이달 초 정기 회장단회의 참석률이 저조해 의견 수렴을 제대로 하지 못해 쇄신안 세부 내용을 정기 총회 전까지 확정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정기총회에 앞서 전경련이 사전 절차로 내달 초 여는 이사회도 주목된다.

이사회는 회장단, 상임이사, 이사를 비롯해 회원사 150여곳이 참석 대상이다. 총회에 안건을 상정하려면 이사회에서 사전에 의결해야 한다.

이사회는 그간 절차상 형식적으로 열려왔지만 이번 이사회는 전경련 회비 문제를 결정하는 사안이 걸려있어 민감하다.

전경련 정관에 따르면 “회비의 부과 및 징수방법은 이사회에서 정한다”고 나와 있으며, 이때 한해 회비 총액과 기업별 납부금액이 정해진다.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 그룹은 올해부터 전경련 회비를 납부하지 않겠다고 공개 선언을 하거나 내부 방침을 정했다. 이 같은 회비 납부 중단 선언은 이사회를 기점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