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윤주혜 기자 = 저축은행 중금리 대출이 날개를 단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의 발표대로 신용등급 하락폭이 개선되면 중신용자들이 대거 유입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개인신용평가 체계에 스코어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그간 1등급~10등급으로 나누어 있던 신용등급 체계를 예컨대 1000점 만점의 점수제로 바꾸는 것이다. 또 대출금리를 평가지표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대부업이나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 신용등급이 일괄적으로 하락하는 문제가 개선될 전망이다.
실제로 김영주 의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 신용도 1등급이었던 사람들은 평균 2.4등급 내려갔다. 2등급이었던 사람들은 2.7등급, 3등급은 2.1등급, 4등급은 1.5등급까지 내려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8등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신용등급 하락율에 비해 상위신용자의 신용등급이 더 큰폭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당시 나이스평가정보 측은 “상위등급에 분포된 사람들은 신용등급하락 요인이 전무한 상태에서 대부업체나 저축은행을 이용하게 되면 크게 하락한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중금리 상품의 경우 금리 하락 문제 때문에 꺼리는 고객들이 꽤 있었다”면서 “저축은행 업권 이미지가 안 좋아서 카드론을 선호하는 고객들이 꽤 있었는데 향후 이들 고객이 저축은행 중금리 상품으로 넘어올 것으로 생각한다 ”고 말했다.
은행과의 연계에서도 기대감을 나타낸다. 그간 은행-저축은행 간 연계 사업을 통해서 은행은 자사 심사에서 부결된 고객들을 연계한 저축은행으로 소개해주곤 했다. 하지만 신용등급 하락 문제 때문에 대출을 기피하는 고객들이 많았다.
또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은행 고객 중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으면 신용등급이 대폭 하락해서 기존에 지니고 있던 은행 대출을 연장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며 “앞으로는 연계 사업이 좀 더 활성화되지 않을까하는 기대감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신용등급 체계 개선만으로 우량 고객이 대거 몰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반응도 있다. 신용도가 점수제로 바뀌며 세분화되는 만큼 그에 맞춘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지 않으면 고객이 저축은행으로 발을 돌리지 않을 것이란 주장이다. 예컨대 신용등급 6등급만 하더라도 350만명이 있을 정도로 같은 등급 내에서도 스펙트럼이 다양하다. 이러한 세부적인 부분을 감안해 상품을 개발하는 능력이 무엇보다 우선한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일부 저축은행은 고신용자에게도 20%에 육박하는 고금리를 매기는 경우가 많았다. 신용도에 상관 없이 일괄적으로 고금리를 매기는 영업 관행이 지속된다면 저축은행 대출 이용시 신용도가 대폭 떨어지기는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