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탕약 현대화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기간 탕약을 우수의약품제조·품질관리기준(GMP) 제조 의약품 수준으로 조제·관리한다.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는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 등에 대한 품질보증 제도다.
한방병원과 한의원에서 이뤄지는 건강보험 혜택이 주어지지 않는 비급여 항목 중 탕약은 각각 34.5%, 58.7%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조제설비나 조제법 등이 표준화되지 않아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이미지 확대
![<탕약현대화 시범사업 개념도> [자료=보건복지부 제공]](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7/01/17/20170117154209357752.jpg)
<탕약현대화 시범사업 개념도> [자료=보건복지부 제공]
우선 올해부터 내년까지는 조제시설 등 인프라 구축과 기준 마련에 나선다. 이어 2019년~2020년에는 국공립 한방병원과 민간 한의원 약 100∼200곳에서 시범사업을 벌인다.
탕약표준조제시설에서 만든 탕약 관련 정보를 빅데이터화 하는 '한약표준화정보시스템' 작업은 한약진흥재단이 맡는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은 한약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를 크게 높이고, 산업화와 국제화에도 이바지할 것"이라며 "한의계와 함께 시범사업 결과를 분석한 뒤 본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