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해외 이전을 준비하는 기업들에 대한 경고 수위를 높이고 있다. 관세 부과 등의 불도저식 통제 방식에 논란이 일고 있어 효과를 낼지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 당선인은 4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기업이 국내 직원을 해고하고 외국에 공장을 만드는 행위의 대가를 받지 않고 미국에 제품을 수입하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외국으로 이전한 공장에서 생산한 뒤 미국으로 수입하는 제품에는 관세 35%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과정에서도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법인세를 현행 35%에서 15%로 낮추는 등 기업들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겠다고 공언해왔다. 투자 문턱을 낮출 수 있도록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고도 약속했다.
경고가 잇따르자 미국 자동차 기업인 포드의 켄터키 소재 '링컨MKC' 모델 조립 라인과 에어컨 제조업체 캐리어는 인디애나 공장의 멕시코 이전 계획을 포기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기업 압박 전략이 효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멕시코 공장 이전 계획을 갖고 있던 기계부품 조립업체 렉스노드도 정조준 대상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트위터를 통해 "렉스토드가 인디애나 주 소재 공장을 멕시코로 이전하면서 노동자 300명 전원을 해고하려 한다"며 공장 이전 계획을 철회하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암시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의 압박이 시장 원리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나온다. 실제로 캐리어는 공장 이전 계획을 철회하는 대신 향후 10년간 700만 달러(약 82억 원)의 세금 혜택을 받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선 과정에서 자사의 이전 계획을 지속적으로 비판했던 트럼프 당선인의 경고에 대해 사실상 굴복했다는 지적이다.
기업의 경영 방식에 압력을 높이면 국제적 경쟁력이 없어진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당분간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