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미 감독의 인생, 극장]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잔혹하고 공평한 인생

2016-07-06 10:06
  • 글자크기 설정

영화 '비밀은 없다'를 연출한 이경미 감독이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진행한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아주경제 최송희 기자 = 영화의 힘은 세다. 한 편의 영화는 누군가에게 좌표이자 안내서가 되기도 한다. 저마다의 이유, 저마다의 감성이 담긴 한 편의 영화. ‘인생, 극장’은 감독들이 꼽은 인생 영화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코너다. 감독들에게 지침이 된 혹은 그의 인생에 영향을 끼친 영화는 무엇일까? 영화 ‘미쓰홍당무’, ‘비밀은 없다’의 이경미 감독을 만나 그의 인생영화에 대해 들어보았다.

“좋아하는 영화와 인생 영화는 다르다고 생각해요. 음, 제가 살면서 가장 많이 떠올리는 영화는 코엔 형제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요.”

코엔 형제는 미국 독립영화를 대표하는 형제 영화감독이다. 형 조엘 코엔과 동생 에단 코엘은 1984년 저예산영화 ‘블러드 심플’로 데뷔, 이후 ‘바톤 핑크’로 칸 영화제의 극찬을 받은 뒤 세계적인 감독으로 이름을 알렸다.

코엔 형제는 공식적으로 감독은 조엘이, 프로듀서는 에단이 맡고 있지만 시나리오를 함께 쓸 뿐 아니라 그 밖의 모든 작업을 공동으로 하기 때문에 서로를 따로따로 떼어놓을 수가 없다.

이경미 감독이 인생 영화로 꼽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는 코엔 형제의 대표작 중 하나. 제80회 아카데미 시상식의 각색상, 작품상, 감독상, 남우조연상을 비롯해 제14회 미국배우조합상, 제72회 뉴욕비평가협회상, 제65회 골든글로브 시상식까지. 2관왕 이상을 싹쓸이하며 세계적으로 호평을 얻은 작품이다.

극 중 청부업자 안톤 쉬거 역을 맡은 하비에르 바르뎀[사진=영화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스틸컷]


영화는 미국의 텍사스를 배경으로 모스(조쉬 브롤린 분)이 우연히 시체에 둘러싸인 현장에서 총상을 입고 죽어가는 한 남자와 돈가방을 발견하게 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갈증을 호소하는 그 남자와, 240만 달러의 현금이 든 가방 사이에서 돈가방을 선택한 모스. 그는 집에 돌아온 순간, 두고 온 남자에 대한 가책을 느꼈고 현장으로 돌아간다. 하지만 그를 기다리고 있는 건 빗발치는 총탄 세례와 자신의 뒤를 쫓는 추격자의 존재.

자신을 찾아온 행운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모스와 자신의 동료마저도 죽이며 빼앗긴 것을 찾으려는 살인 청부업자 안톤 쉬거(하비에르 바르뎀 분), 그리고 뒤늦게 사건 현장에서 그들의 존재를 깨닫고 추격하는 관할 보안관 벨 (토미 리 존스 분)까지, 세 사람의 꼬리를 무는 추격은 점차 그 결말을 알 수 없는 파국의 절정으로 치닫게 된다.

“사람 인생사는 어떤 거대한 힘에 의해 굴러간다고 느껴요. 그게 제가 생각하는 ‘세상사 굴러가는 법칙’이거든요. 살아가면서 그런 생각을 많이 하죠. 어떤 사건을 지켜볼 때, 어떻게 흘러가는지 어떤 단계를 거치는지. 그런데 언제나 조금 가혹하고 공평하지 않잖아요. 세상사라는 게요. 하지만 또 어떻게 보면 가혹하지만 공평하기도 하고요. 그런 모습들을 가장 많이 느낀 영화인 것 같아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