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상반기 코스피는 최저 1835포인트(2월12일)에서 최대 2027포인트(6월8일)를 기록했다.
이 기간 중국 경기·금융 불안, 미국 금리인상 경계감 및 브렉시트 등 불안요인과 주요국 정채공조 효과 등이 맞물리며 등락장세를 보였다. 거래는 전년대비 다소 감소했지만 4월 이후 美FOMC 회의, 중국 MSCI 신흥지수 편입이슈, 브렉시트 투표 등 주요 이벤트가 이어지며 소폭 증가추세를 보였다.
이중 개인거래비중은 53.9%에서 51.3%로 전년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외국인 비중은 25.5%에서 27.6%로 증가추세로 전환하며 증시 영향력을 확대했다.
올해 코스피 상승률 0.5%는 G20국가 중 12위에 해당하는 기록으로 지난해 2.4%로 8위를 기록했던 것에 비해 네 계단 하락했다.
거래소 측은 "상반기 중 달러강세 완화 및 원자재가격 상승 등으로 자원국 중심 신흥증시가 상대적 강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코스닥을 포함한 상반기 거래대금은 전체 10위로 전년과 동일했다.
올해 초저금리가 지속되며 고객예탁금은 6월 7일 26.2조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채권시장 강세로 채권형 펀드는 증가세를 보였지만 증시 부진으로 주식형 펀드는 2012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해 60조원에 근접했다.
신용잔고는 전년대비 0.6조원 감소했다.
올해 상반기 코스피 PER는 기업실적 호조 및 배당확대 등에 따른 펀더멘털 개선 기대감 등으로 상승해 상단 11배, 하단 9.9배를 기록 2009년 이후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6월 들어서는 2분기 이후 높아진 예상 기업실적 대비 브렉시트 등 영향 증시가 조정장세를 보임에 따라 9배 수준으로 하락하기도 했지만 최근 주가 반등으로 10배수준을 회복했다.
또 상반기 코스피에서는 고배당주가 강세를 보였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기업의 주주환원정책이 강화되며 투자자들은 배당주를 선호하는 모습을 보였다. K200고배당지수는 5.1%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배당성향 상위 20개종목의 평균 상승률도 10.6%를 기록해 코스피 연간 상승률 0.5%를 훌쩍 뛰어넘었다.
이 기간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는 실적 호조 등의 영향으로 상반기 중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13.1% 상승했고, 6월말 기준 삼성전자 시총비중(우선주 포함)은 전체의 18.3%를 차지하며 지난 2015년 이후 최초로 18%를 회복했다.
업종별로는 한국전력·삼성전자 등 전기가스·전기전자가 포함된 대형주가 대외불안 속에서도 주요기업의 실적 호조 등으로 강보합권을 기록한 반면 중형주는 해운업 등 부진으로 약세를 띄었다. 소형주는 의역품주가 23.6% 오르는 등 강세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