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뤼셀 테러] 벨기에 대테러 구멍이 부른 참사..."EU 차원 대응 필요"

2016-03-23 12:59
  • 글자크기 설정

9·11 테러 이후 미국 대응 등 참고해야

[사진=신화통신]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벨기에 정부는 22일(현지시간) 발생한 연쇄 테러 직후 테러 경보 등급을 최고 등급인 4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수도 브뤼셀을 오가는 모든 교통수단을 통제하고 25개 부대 200명 규모의 군력을 파견해 경계 태세에 나섰다. 취약한 벨기에의 안보력이 드러난 만큼 유럽연합(EU) 차원의 강경한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IS 보복 테러 예상 못했나...보안 취약점 드러내
이번 브뤼셀 연쇄 테러 참사로 최소 34명이 숨지는 등 사상자 수백명이 발생했다. 지난해 11월 130여 명의 목숨을 앗아간 프랑스 파리 연쇄 테러 이후 유럽 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참사다. 브뤼셀 테러는 △ 공항·지하철역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일어난 점 △ 수백명의 인명피해를 냈다는 점 △ 이슬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배후로 꼽힌다는 점 들을 들어 파리 테러와 닮은꼴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파리 테러와는 달리 충분히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테러는 지난 18일 벨기에 수사당국이 파리 테러 주범인 살라 압데슬람을 생포한 지 나흘 만에 발생했다. 공범에 대한 공개수배도 내린 만큼 얼마든지 보복 테러가 일어날 가능성에 대비했어야 했다는 얘기다.

더구나 압데슬람을 체포했던 브뤼셀 인근 몰렌베이크 지역은 IS의 핵심 터전으로 꼽히는 곳이다. 몰렌베이크는 약 50년 전부터 터키·모로코 출신 이민자들이 정착한 곳으로 인구 3분의 2가 무슬림이다. 인근 지역과의 빈부 격차 등이 격화되면서 벨기에 사회에 융합되지 못하자 극단주의에 빠져드는 젊은 인구가 늘고 있는 추세다. 

뉴요커, BBC 등 외신들은 "극단주의를 키우는 특정 지역의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점도 문제지만 테러 방지를 위한 의사소통 부재가 참사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벨기에는 프랑스어·네덜란드어·독일어 등 다양한 언어권으로 구성돼 있어 행정조직이 여러 개로 분산돼 있다. 수도 브뤼셀만 해도 자치단체장 19명, 정보기관 2곳, 경찰서 6곳 등이 보안 분야를 공동 담당하고 있어 효율적인 정보 공유가 어려운 상황이다. 

◆ 단일 국가 노력만으로 부족..."EU 공동 대응 해야"

이번 테러는 EU에 대한 IS의 전면전 성격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일단 벨기에가 지리적으로 영국·독일·프랑스의 가운데에 위치해 있어 '유럽의 심장'을 공격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테러 장소가 브뤼셀 국제공항과 말베이크 지하철역이었다는 점도 이런 분석을 뒷받침한다. 말베이크역 인근에는 EU 집행위원회 본부가 위치해 있다.

이번 테러 이후 벨기에 정부는 테러 재발을 막기 위해 내부 강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오는 2019년까지 몰렌베이크 일대에 경관 1000명을 추가 배치해 불법 무기·마약 거래 등의 불법 행위를 근절하겠다고 밝혔다. 파리 테러 이후 발표했던 보안 부문 예산의 2배 증액 계획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프랑스 파리 테러에 이어 불과 네 달 사이에 유럽 국가 두 곳이 테러의 표적이 된 만큼 유럽연합(EU) 차원의 강경한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벨기에의 정보기관 인력은 600명 남짓으로, 그동안에도 지리적 중요도에 비해 안보 능력이 형편없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영국 일간 가디언 등은 "추가 테러 피해를 막기 위해 EU 회원국 간 강경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면서 "지난 2001년 9·11 테러 이후 동맹국과의 연계 강화, 사이버 범죄 대응 강화 등 강경한 대응책을 마련했던 미국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EU 28개 회원국 정상들은 브뤼셀 테러를 규탄하는 공동 성명서를 채택·발표한 뒤 연대 테러 대응 의지를 강조했다. 다만 인력과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고 해도 단기간에 효과를 내기는 어려운 만큼 국경 통제 등 각국 차원의 경계 태세도 갖춰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