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트리피케이션을 막아라(상)]경리단길·홍대앞 등 문제지역 가보니

2016-02-21 12:44
  • 글자크기 설정

홍대입구역 횟집 주인 "월세 600만원 올려달라 요구에 떠날 처지"

권리금 차액 노린 얌체 임차인들도 극성...."일부 임차인도 문제"

▲레스토랑 등 이국적인 상점이 빼곡히 들어선 이태원 경리단길 전경. 경리단길은 고급 상점 등이 들어서며 임대료가 올라 원주민 영세상인이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사진=최수연 기자]
 

아주경제 최수연·백현철 기자 = "영세상인들은 아무말도 못하고 그냥 조용히 사라지기 일쑤다.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면서 임대료가 오르는 것을 막을 방법이 있나? 버틸때까지 버티다 더이상 임대료를 부담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오면 떠나는 수 밖에 없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2동 경리단길에 작은 잡화점을 운영하고 있는 한 상인)

지난 19일 아주경제는 젠트리피케이션 문제가 커지고 있는 대표 상권인 이태원 경리단길과 홍대 앞·연남동 등을 찾아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를 직접 파악해 봤다.
용산구청에서 10분정도 걷다보니 오른편으로 경리단길이 나타났다. 국군재정관리단에서 시작해 하얏트호텔까지 이어지는 경리단길은 각종 카페·레스토랑·펍 등으로 빼곡히 채워져 있었다. 대규모 자본이 유입되면서 인·익스테리어가 세련돼져 마치 유럽에 온 듯한 기분이 들 정도다. 

지난 수십년 간 경리단길은 미군부대와 남산 등으로 고립돼 대규모 재개발의 흐름과 동떨어져 고유의 주거환경을 유지해 왔다. 주로 쌀집·세탁소·철물점·노래방·고깃집 등의 동네 상권이 형성됐었다. 

하지만 2006년 지하철 6호선이 개통을 기점으로 이태원 상권이 활성화되면서 경리단길 땅값도 급격히 오르기 시작했다. 

실제 부동산114에서 조사한 이태원 상권 임대료 현황을 보면 2010년 1분기 당시 1㎡당 2만5900원이었던 게 2015년 4분기에는 4만3600원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경리단길 인근 중개업소 대표는 "경리단길 상권 임대료는 최근 5년 동안 2~4배가량 올랐다"고 말했다. 

임대료 상승이 본격화 된 2008년부터 오른 임대료를 버티지 못하고 원주민과 이 곳에 터를 잡은 예술인들이 속속 떠나기 시작했다. 경리단길 상부에서 작은 상가를 운영하고 있는 B씨는 "3년 전부터 조금씩 경리단길이 변했다. 외부 투자자들이 들어오면서 임대료가 점점 오르기 시작하더니 10평 남짓 안되는 가게에서 장사하던 상인들이나 세입자들이 하나 둘씩 조용히 사라졌다"면서 "몇달 전에도 인근의 한 건물이 새로운 주인을 맞으면서 세들어 살던 주민들이 이사를 갔는데 막상 전세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 힘들어하더라"고 전했다.

이어 "지금 하고 있는 가게도 3번정도 임대료를 올려줬다"면서 "이번이 마지막으로 다음에 또 올려달라고하면 더이상 유지하기 힘들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홍대 인근의 상황은 더 심각했다. 과거 문화 예술인의 성지로 불리던 홍대 앞은 특색 있는 가게 대신 대기업 프랜차이즈들이 즐비했다. 지역의 인기로 임대료가 올라 쫓겨나는 것으로 모자라 임대인과의 명도소송으로 정신까지 피폐해진 상인들도 많았다.
 
연남동에서 당구장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10년 가까이 당구장을 운영했지만 집주인의 계약 연장 거부로 삶의 터전을 잃게 생겼다"며 "지난해 9월 기존 계약이 만료돼 건물주와 명도소송(권리 없는 점유자가 부동산을 인도하지 않을 경우 소유주가 제기하는 소송)을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 10년간 인테리어도 새로하고 단골들이 생겨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며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어디로 가야할지, 다시 장사는 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고 푸념했다.

홍대입구역 인근에서 B횟집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건물주가 계약 갱신을 앞두고 월세를 900만원에서 1500만원으로 올려달라는 요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유동인구 증가로 상가의 가치가 커지자 건물주가 무리하게 월세 인상을 요구한 것이다.

B횟집 대표는 "건물주인이 최초 2년 계약 후 추가 연장 계약을 앞두고 월세를 600만원 더 내달라고 요구 했다"며 "요구한 금액이 너무 커 계약을 해야할지 다른 가게로 옮겨야 할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가주인이 임대료를 올리는 게 젠트리피케이션의 기본 문제지만 일각에서는 처음부터 권리금을 목적으로 2년 정도 가게를 운영하다가 권리금을 곱으로 받고 나가는 일명 먹튀 투자자들도 문제의 심각성을 더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슈퍼마켓을 30년 가량 운영하고 있는 60대 상인은 "처음 경리단길에 정착해 상권을 형성한 예술인들이 떠나고 투자 목적으로 이곳에 온 돈 많은 사람들은 2년 정도 가게를 운영하다가 권리금을 곱으로 받고 나간다"며 "그 사람들로 인해 오히려 상권이 불안해진다"고 말했다.

허자연 전 서울연구원 박사는 "상권이 급격히 변화하고 이동하는 것이 비단 건물주만의 책임은 아니다"면서 "상권을 구성하는 각 행위자들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6월 마포구 연남동 일대에 일명 '경의선 숲길'이 조성되면서 이 일대도 젠트리피케이션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지난 19일 오후 찾은 경의선 숲길 일대 전경. [사진=백현철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