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민이 뽑은 별별 명장면] ‘동주’ 기교 없는 정직함으로

2016-02-19 10:15
  • 글자크기 설정

영화 동주에서 윤동주 시인의 고종사촌이자 동갑내기 친구인 '송몽규 열사' 역을 열연한 배우 박정민이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진행한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아주경제 최송희 기자 = 배우가 기억하는 작품 속 최고의 명장면은 무엇일까? 배우의 입장, 관객의 입장에서 고른 명장면을 씹고, 뜯고, 맛본다. ‘별별 명장면’은 배우가 기억하는 특별한 에피소드 및 작품의 의미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코너다. 21번째 타자는 영화 ‘동주’(감독 이준익·제작 ㈜루스이소니도스·제공 배급 메가박스㈜플러스엠)의 주인공 박정민이다.

‘동주’는 이름도, 언어도, 꿈도 허락되지 않았던 1945년, 평생의 친구이자 라이벌이었던 시인 윤동주(강하늘 분)와 독립운동가 송몽규(박정민 분)의 빛나던 청춘을 담은 이야기다.

대중이 기억하고 사랑하는 시인 윤동주에 비해 독립운동가 송몽규에 대한 정보는 적다.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에 몸을 바쳤지만 일본 유학 중에 윤동주와 함께 체포되어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했다. 박정민 역시 그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었지만 작품을 위해 “알아갈수록 그 존재에 대한 위대함을” 느꼈다.

송우혜의 윤동주 평전을 보며 그 시대와 윤동주, 송몽규의 일화들을 알아갔고 “말도 안 되는 판타지 같은 일”을 목격한다. 박정민이 가장 놀라움을 느낀 장면은 송몽규가 마을 사람들에게 연설하는 신이었다.

“마을사람들을 모아놓고 연설하는 장면이 있는데 그게 영화와는 약간 달라요. 당시, 송몽규 선생님의 나이는 12살이었거든요. 천재 아닌가요? 어른들에게 ‘우리는 왜 간도에 살고 있나. 조선 땅에는 일본놈이 득실거린다’고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가능한가요. 어린애라고 무시할 수도 있는데 이야기를 들어주고 동의한다는 건 이미 마을 사람들도 그의 천재성을 알았던 것 같아요.”
 

영화 '동주'에서 송몽규 역을 맡은 박정민[사진=메가박스 플러스엠]


소설보다 더 소설 같은 상황과 송몽규의 취향, 성향, 사상을 알아갈수록 박정민은 캐릭터와 점점 더 멀어졌다. “감히 따라잡을 수 없는 분이라는 생각”에 빠졌고 가슴은 더욱 뜨거워졌다.

“그러다 보니 ‘저만의 송몽규를 만들겠다’는 생각은 아예 사라졌죠. 이 인물만큼은 기교 없이 정직하게 표현하고 싶었어요. 그 인물을 알아가는 것 자체로도 버거웠죠. 제가 가졌던 연기적인 습관도 다 버리려고 했어요. ‘쉬운 선택’이 아니었다는 방증이에요. 사실 난관에 봉착하면 쉬운 선택의 유혹이 오기 마련이거든요. 시간이 없거나 제가 나태해졌을 때 벌어지는 일이죠. 영화 속에서 제 연기 습관이 나오지 않았다는 건 어쩌면 제가 어려운 길을 헤쳐 나가야만 했던 그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말의 어조, 호흡 등으로 만들어가는 극적인 기교는 필요 없었다. 가장 순수한 형태로 접근하고자 했고 가장 본연에 가까운 얼굴을 보여주고 싶었다. “처음으로 송몽규를 연기한 사람”이기 때문이었다.

“송몽규 선생님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그분이 잠시 빠져있었던 이광수에 대해, 공산주의에 대해, 당시 시대적 분위기에 대해 많이 공부했어요. 처음으로 그분을 소개하는 영화인데 제가 아무것도 모르고 대사를 읊는다는 건 어찌 보면 ‘배반’이잖아요. 알고 하는 것과 모르는 것은 천지 차이가 있으니까요.”

송몽규에 더욱 가까워지고자 노력해왔던 박정민의 모습은 영화 ‘동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절찬 상영 중.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