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변화' 따라 중국 진출하는 일본 기업 늘어

2015-11-30 18:30
  • 글자크기 설정

고령 인구·출산율 증가 등 추세 기반으로 일본 기업 진출 가속화

아주경제 문은주 기자 = 인구 고령화와 한 자녀 정책 폐지 등으로 중국 내 급격한 인구 변화가 예상되면서 틈새 시장을 노리는 일본 기업의 진출 사례도 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30일 보도했다.

중국위생계획출산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전체의 15.5%로 무려 2억 1200만명에 달한다. 지난 5년간의 추세로 봤을 때 노인 인구는 매년 평균 860만 명씩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일본 사회에 비교하면 얼마 되지 않지만 인구 수가 많은 만큼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 커질 전망이다.

노인 복지 분야에 가장 먼저 눈 돌린 일본 기업은 간호 전문업체 이치이가칸(ニチイ学館)이다. 중국에서는 통상 가정부가 가사 업무와 함께 간호를 병행한다는 점에 착안, 현지 기업 인수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이미 가사 대행업체 6곳을 인수했고 앞으로도 10곳 이상을 추가로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이치이가칸은 중국 내 노인 3500만 명이 간호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의 노인 대상 간호 서비스는 이제 자리잡는 단계지만 시장 규모가 향후 2조3000억엔(약 21조원)까지 확장될 것이라는 추산이다. 이치이가칸은  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치이가칸은 인수한 현지 기업에 자사 전문 노하우를 제공하면서 이익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일본 제약회사 에자이는 중국의 노인 치매 발병률이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치매 치료제 '아리셉트'의 현지 판매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실제로 에자이 치료제 판매율은 올 4월부터 9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23% 늘어나 27억 엔(약 255억원)까지 소득이 늘었다. 지난 여름에는 중국 현지 의료기관들과 협력해 외래 진료소를 140곳 이상 설립하기도 했다.

한 자녀 정책 폐지를 통해 잠재적 베이비붐이 예상되는 만큼 유아 전문 기업들도 속속 중국에 진출하고 있다. 정책 변화를 통해 여성 9000만 명 이상이 둘째 아이를 임신할 수 있어 아동 관련 소비 지출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일본 생활용품 전문업체 카오는 유아용 기저귀 등의 생산을 늘리기 위해 향후 2~3년에 걸쳐 900억엔을 투자하기도 했다. 중국 수요에 맞춰 공장 6곳을 동시에 가동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유아용 기저귀를 전문적으로 생산해온 일본 다이오제지도 올해부터는 중국에서 일회용 성인 기저귀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