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서 조속히 비례대표를 줄여 농어촌 지역구 의석수 감소를 최소화해야한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주장하며, 야당을 향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를 통한 기준 합의를 촉구했다.
김무성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비현실적인 획정위안을 가지고 국회 정개특위를 열어 획정기준을 빨리 합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9/21/20150921093226253735.jpg)
새누리당은 21일 전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20대 총선 지역구 의석 수를 244~249석 범위 내에서 정할 것이란 발표에 여과없이 불만을 드러냈다.[사진제공=새누리당]
그는 "선거구획정위에서 1차 회의 결과를 발표했는데 이렇게 되면 6개 군이 한 선거구되는 곳이 무려 2개나 되고, 5개 군이 한 선거구 되는 곳이 2개가 된다"면서 "이렇게 되면 경남북, 광주전남에서 각각 4석 줄고 강원은 2석 주는 등 농어촌 지역 선거구가 대폭 축소하게 된다"면서 선관위 획정위안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또한 "현재로도 농촌 지역 4개군을 한 선거구로 둔 지역 많은데 그 지역 국회의원이 4곳 관리하는데 정말 힘 많이 드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김 대표는 이어 "선거구획정위에서 이렇게 할 수 밖에 없었던 사연은 헌법재판소가 선거구 편차를 2대1로 조정하라는 결정 때문"이라면서도 "현재도 한 지역 국회의원이 4개 군을 관리하는 데 힘이 많이 든다는 현실적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례대표를 단 한개도 줄일 수 없다는 새정치연합과 전체 의석수를 300석을 넘겨서는 안된다는 국민적 여론 때문에 국회가 합리적 기준안을 선거구획정위에 주지 않으면서 오는 문제"라며 "여야 간 기준 합의가 조속히 될 수 있도록 정개특위를 빨리 열어야한다"고 촉구했다.
황진하 사무총장 또한 전날 선거구획정위의 결정에 대해 "헌재의 결정은 최대한 존중해야하지만 인구 수에만 신경쓰다보면 도시는 지역구가 느는 반면 인구가 적은 농어촌 지역구 수는 줄어들 수 밖에 없는 걱정이 있다"고 밝혔다.
황 사무총장은 농어촌 선거구 감소시 강원도에서 6개 군이 1개 선거구로 묶이는 점을 지적하며 "도시지역 선거구 면적의 수백배에 이르는 기형적인 농어촌 선거구 등장으로 행정구역과 지역 대표성이 침해되는 또 다른 위헌 소지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고 역설했다.
그는 "갈수록 심화되는 도농 양극화 해소와 국토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선거구 획정에서 농어촌 지역이 무작정 소외·축소돼선 안된다"며 "새정치연합이 비례대표를 줄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 농어촌 및 도농 양극화 심화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며 야당에 전향적 협조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