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김성곤(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14일 통일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 7월까지 통일부와 산하기관에 대해 총 946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다.
연도별로는 2011년 95건, 2012년 278건, 2013년 161건, 2014년 315건, 2015년(1∼7월) 97건 등이었다.
시도 유형은 시스템정보수집(410건·43.3%)과 해킹메일(260건·27.5%), 악성코드(216건·22.8%) 순으로 많았고, 웹해킹(홈페이지 변조·35건·3.7%), 유해IP 접속(24건·2.5%), 자료유출 시도(1건·0.1%) 등도 있었다.
해킹을 위해 경유한 국가는 중국이 519건(54.8%)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한국 192건(20.3%), 미국 84건(8.8%), 홍콩 27건(2.9%), 일본 10건(1.1%), 러시아 10건(1.1%) 등 순이었다.
통일부측은 사이버안전센터 정보보호시스템을 통해 해킹 시도를 차단·방어 중이며 실제로 해킹 피해를 입은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의원은 최근 4년간 통일부 및 산하 공공기관에 대해 진행된 모의해킹 결과를 보면 결코 안심할 상황이 못 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통일부 및 산하 공공기관에서는 2012년 68개, 2013년 121개, 2014년 82개, 2015년 68개씩 해킹 취약점이 꾸준히 드러나고 있다.
전체 취약점의 66.5%는 통일부 본부에서 발견됐고,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에서 발견된 취약점도 전체의 13.3% 수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