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1/04/20141104110041426605.jpg)
[사진=아이클릭아트]
4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3억1341만원으로 전년 동월(2억8675만원) 대비 2666만원(9.3%) 상승했다. 2년 전인 2012년 10월(2억6752만원)과 비교하면 4986만원 오른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2011년 7월 2억5171만원으로 2억5000만원 선을 넘긴 후 올해 2월 3억25만원으로 3억원 선을 돌파한 바 있다.
2년 전에 서울 소재 아파트 전세 계약을 체결한 세입자라면 재계약 시 5000만원 가량의 전세 보증금을 올려줘야 하는 셈이다. 이는 일반 직장인의 소득 수준을 고려할 때 벅찬 수준이어서 세입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 3월 취업포털 사람인이 기업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보면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초봉이 2362만원으로 2년 동안 월급을 모두 모아야 오른 전셋값을 겨우 충당할 수 있는 것이다.
서울의 3.3㎡당 평균 전셋값은 1년 사이 평균 95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주택 규모인 전용면적 85㎡ 아파트에 적용하면 같은 기간 2700만원 상승한 수준이다.
전용 85㎡ 아파트 기준 1년 새 전셋값이 가장 많이 오른 곳은 서초구로 4715만원 급등했다. 이어 용산(4237만원)·강남(3948만원)·중(3854만원)·광진(3659만원)·마포(3350만원)·성동·동대문(각 3315만원)·동작(3308만원)·서대문(3228만원)·송파구(3105만원) 등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25개 자치구 중 이들 11개구는 1년 동안 전셋값이 3000만원 이상 상승했다.
반면 강서구는 1년 간 877만원 오르는데 그쳐 상승폭이 가장 작았다. 중랑(1352만원)·도봉(1440만원)·종로(1673만원)·금천(1757만원)·노원(1777만원)·강북(1929만원)·성북구(1975만원) 등도 2000만원 미만 상승했다.
한편 전용 85㎡ 아파트 전셋값이 가장 비싼 지역은 강남구로 평균 5억430만원으로 조사됐다. 서초구(4억8518만원)와 용산구(3억8867만원), 송파구(3억8675만원) 등도 높은 전세가격을 형성했다.
금천구의 경우 평균 아파트 전셋값이 2억894만원으로 서울에서 가장 저렴했다. 중랑(2억3888만원)·도봉(2억2318만원)·노원(2억4251만원)·강북구(2억3770만원) 등도 전세가격이 2억5000만원 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