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규혁 기자 =차별화 된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이 중소기업의 글로벌화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4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화 장애요인 및 정책활용'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 10곳 중 8곳(80.1%)이 '자사제품의 기술, 가격경쟁력'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기업자체의 경쟁력 구축이 우선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글로벌 활동의 내부적 장애요인으로는 △해외시장조사·네트워크 구축 관련 운영자금 및 기술개발 등 시설자금 부족, 수출입 보험·보증 부족과 같은 '금융애로'(24.0%) △가격경쟁력 저하·낮은 브랜드가치 등 '상품 및 가격장벽'(23.8%) △바이어 발굴, 프로모션, 재고관리 등과 관련된 '마케팅·유통애로'(23.1%)라고 답했다.
외부적 장애요인도 적지 않았다. 중소기업들은 복잡한 무역절차와 같은 '운영 애로'(20.2%) △정부지원 및 통상규제(16.0%) △통관비용, 관세 등과 관련된 '통관·정책애로'(14.1%)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정부의 글로벌화 지원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기업 2곳 중 1곳(51.3%)가 인지하고 있었다.
특히 무역사절단 파견(전시회, 시장개척단 등)과 해외시장 개척지원(수출인큐베이터, 지사회사업)과 관련딘 '판로개척'에 대한 만족도(7점만점에 4.5점)가 가장 높았다.
반면 '실질적 지원효과 미흡'은 지원프로그램 활용 시 대표적인 애로사항으로 꼽혔다.
글로벌 활동을 시작한 시기는 ‘5~9년 이하’가 27.9%로 가장 높았다. '10~14년 이하'(21.0%), '15년 이상'(20.6%) 순으로 나타나 응답기업의 50% 이상이 설립후 9년 이내에는 글로벌화 활동을 시작하는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