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에 따라 창업열기가 뜨거워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1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신규 조성 펀드는 9506억원으로 전년 동기 4876억원 대비 95% 늘었다.
9월말 기준 벤처기업수는 2만9044개로 전년 2만8193개 대비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신규 벤처투자 규모는 9842억원으로 전년 동기 8345억원 대비 11.8% 늘어 벤처대책으로 만든 펀드 투자가 본격화되면 증가폭은 보다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9월 기준 엔젤투자정보센터에 등록하고 활동 중인 엔젤투자자는 4320명으로 지난해 말 2608명 대비 1712명이 증가했다.
대학의 창업동아리는 1833개로 전년동기 1222개에서 50%가 늘면서 대학가를 중심으로 창업이 활성화되는 분위기다.
엔젤클럽은 지난해 58개에서 9월 기준 89개로 늘었고 엔젤투자유치 설명회는 지난해 49회에서 올해 7월까지 70회로 증가했다.
이같은 변화의 바람은 정부가 벤처·창업 자금생태계 선순환 방안, 중소기업 재도전 종합대책을 내놓는 등 벤처 창업 생태계 조성에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 1999년말부터 2000년대 초반의 벤처붐과 비교해 융자에서 투자로 자금 지원의 전환을 시도하면서 실패해도 재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로 각종 멘토링을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면서 점차 벤처 창업 분위기가 살아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2000년대 초반의 벤처붐은 외환위기 이후 인재들이 회사에서 나와 창업을 많이 하면서 인터넷 시대를 맞으면서 정부 정책과 맞물려 일어났었다.
고영하 고벤처포럼 회장은 “2000년대 초반에는 전문지식이 없어 묻지마 투자 등 논란으로 초기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가 위축된 측면이 있다”며 “정부가 다시 초기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환경을 만들어 보려고 노력하면서 미국과 같이 엔젤 투자를 통해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생태계가 조성되지 않겠느냐”고 전망했다.
2000년 대 초반 벤처붐 때는 경험이 있던 창업 선배들이 없어 지원받을 수 있는 길이 없었지만 당시의 창업 노하우나 실패 경험이 있는 인사들의 도움이 이제는 가능한 상황이다.
글로벌 K 스타트업 선발 과정의 미국과 영국 연수에 동행했던 송규철 미래부 정보통신방송기반과 사무관은 “이번 연수과정에서 들은 말 중 기억에 남는 것이 벤처 기업이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만들어 주는 것이라는 말이었다”며 “혼자 크는 게 아니라 키워주는 것이 실리콘밸리의 문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2000년대 초반 벤처붐을 긍정적으로 보면서 복원이 우선 시급하다는 견해도 있다.
이민화 KAIST 교수는 “노무현 정부에서 엔젤투자에 대한 세액 혜택을 줄이고 창업 기업에 대한 벤처 인증을 뒤로 미루는 한편 코스닥 거래소 통합, 주식옵션 유명 무실화 등 4대 건전화 정책을 쓰면서 생태계가 파괴돼 이를 복원하는 과정이 시급하다”며 “펀드를 늘리기 보다는 회수 시장을 만들어야하고 창업자연대보증 개선과 정부 3.0을 통한 공공 정보 공개가 활성화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