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고령화는 2022년에 고령사회에 진입하며, 2028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강화 및 옹진군의 경우 2001년도 이전에 이미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여 심각한 고령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원도심지역은 중・동구 지역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보이며, 계양구 및 부평구 등 비교적 오래된 주택지역도 그 다음으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천과 같이 매립에 의하여 주택개발을 지속적으로 하는 도시에서는 원도심지역의 고령화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도심지역의 고령화는 원도심지역의 재생에 커다란 제약요건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원도심의 슬럼화로 이어짐에 따라 도시의 전반적인 쇠퇴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원도심을 중심으로 고령화에 대응한 도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며, 고령자의 수요를 적절하게 고려한 보다 다양한 유형의 고령화 관련정책을 단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첫째, 원도심지역을 고령화 친화환경으로 변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로 이용률이 낮아지는 기반시설용지를 고령자기반시설로 개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인구감소로 발생하는 공가 등을 고령자 커뮤니티 조성에 필요한 용지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1인가구 및 고령가구의 증가를 감안하여 상권형성이 활발하지 않은 역세권을 중심으로 유휴부지를 활용하여 노인전용 임대주택부지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주택 및 단지구조를 고령자가 편하게 이용하도록 디자인 및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무장애주택, 소규모 환승시스템 및 노인친화구역 지정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원도심의 역세권을 중심으로 고령친화단지가 조성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주거시설과 병원, 공원 등이 근거리에 갖추어진 고밀도의 복합타운 조성이 필요함에 따라, 정비사업 추진 시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고령자의 주택환경개선 및 소득창출을 위하여 세대구분형 리모델링 또는 가변형 위주의 정비사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로는 고령자의 낮은 소득에 대응하여 관리비용 절감을 위한 에너지 절약형 주택구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