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미 국무부는 북한과 전날 식량지원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히면서 연내에 식량지원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는 어려렵다는 입장을 전했다.
현재 북한이 애도기간에 있어 필요 식량규모와 모니터링 문제에 대한 평가가 어려운 탓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북한에서 지난 2월 식량실태를 조사한 미국 구호단체 ‘사마리아인의 지갑(Samaritan’s Purse)‘ 관계자는 “대북 식량지원은 시간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문제”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지난 9월 북한의 수해지역을 방문하고 돌아온 미국의 국제구호기구인 머시코의 대북프로그램 담당자도 한 목소리를 냈다.
담장자는 어린이들이 기아로 죽어가고 있는 것을 목격했다면서 “결정이 지연될수록 더 많은 사람이 고통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스티븐 보즈워스 전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지난 5월 북한을 다녀온 미국 정부의 식량 평가단도 식량원조가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
그는 “특히 주요 도시 외곽 주민과 노인, 어린이들에 대한 식량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며 “영양실조는 놀랄만큼 심각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은 북한의 비핵화 문제와 연결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보즈워스 전 특별대표는 현재 구체화하고 있는 미국의 식량지원 제안은 북한에 “핵 활동을 중단하면 대가로 무엇인가를 얻을 것”이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한 것임을 인정했다.
반면 미국 정부는 이를 부인하고 있다.
세계의 각국도 식량지원이 북한 정권을 돕게될까 지원을 꺼리고 있다.
지난 5월 유엔은 북한 주민 2천400만명 가운데 4분의 1이 ‘긴급 식량지원’을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최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역시 올해 북한의 식량 배급량이 하루 평균 200g으로 줄면서 상당수 주민이 장기간 식량부족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영양실조로 입원한 북한 어린이도 50∼100% 가량 증가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