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김 전 수석의 소환에 이어 조만간 고위급 전ㆍ현직 공무원과 금융기관 관계자 등 2~3명을 추가로 조사할 방침인데다, '저축은행비리 합동조사단'을 구성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치권은 저축은행 수사의 불똥이 어디로 튈지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김 전 수석은 청와대 기획관리실장으로 재직하던 지난해 로비스트 박태규(구속기소)씨로부터 부산저축은행그룹에 대한 금융당국의 검사 무마와 퇴출 저지 등의 청탁과 함께 수차례에 걸쳐 상품권 등 1억원 안팎의 금품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박씨에게서 김 전 수석에게 금품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박씨의 통화내역과 골프라운딩 기록 등을 분석해 박씨가 작년 4월부터 김 전 수석과 90차례 이상 전화 통화를 하고 수차례 골프 회동을 하면서 골프채도 선물한 사실 등을 확인했다.
박씨는 김 수석 외에도 여권 핵심부를 상대로 로비를 벌였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정치권의 파장은 여권의 긴장감이 더 큰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주변에서는 김 전 수석 외에도 현 정부 실세와 지방자치단체장, 국회의원 등 5~6명의 이름이 저축은행 비리사건에 깊숙이 연계돼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박씨의 입에서 추가로 정권 실세와 정치인들의 이름이 거명될 경우 이번 사건은 권력형 비리게이트로 비화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