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고3 과탐 응시생 '뚝'…"'수능 최저등급 충족' 의대 입시 변수로"

2024-05-26 15:35
과탐 응시생, 통합 수능이 도입된 2021년 이후 최저
과탐서 1·2등급 인원 줄면 수능 최저 미충족 늘어나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하루 앞둔 1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영신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수험생 유의사항을 보고 있다. 2023.11.15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올해 두 차례 치러진 교육청 주관 전국연합학력평가(학력평가)에서 고등학교 3학년의 과학탐구 응시생 비율이 뚝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탐구 응시자 규모가 줄면 최상위 4%로 고정된 1등급 인원도 줄어들기 때문에 의대를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수능 최저등급을 충족하는 데 불리할 것으로 보인다.

2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5월 학력평가에서 고3 과탐 응시생 비율은 고3 전체 탐구 응시자 가운데 44.1%로, 통합 수능이 도입된 2021년 이후 최저였다. 전년 47.9%에서 3.8%포인트 하락했다.

탐구 영역에서만 보면 올해 들어 과학탐구 선택이 줄고 사회탐구가 느는 상황이다. 수학 영역에서도 이달 학력평가에서 이과 과목으로 통하는 미적분과 기하 선택 비율이 지난해 48.4%에서 올해 47.7%로 줄었다.

3월 학력평가에서도 고3 과탐 응시생 비율은 지난해 47.2%에서 올해 44.9%로 하락했다.

이는 자연계열 대학을 진학할 때 사회과목 선택을 허용해주는 대학이 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과생들이 수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사회탐구 과목을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서울 주요대는 과탐에 가산점을 적용하고 있어 '과탐 이탈 현상'은 중하위권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성균관대, 중앙대, 경희대 등 서울 주요 대학은 여전히 수학 미적분·기하, 과학 탐구 응시생에게 가산점을 주거나 과학 탐구 응시자만 지원할 수 있다. 

고3의 과탐 응시가 2025학년도 수능에서도 줄어들 경우 의대를 목표로 하는 이과 최상위권 수험생 역시 수능 최저등급 확보가 어려워져 불리해질 수 있다. 수능 1등급은 응시생의 4%, 2등급은 11%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중하위권 수험생들이 과학탐구에서 사회탐구로 전환하면 1∼2등급 인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의대 모집정원이 2025학년도에 확대됐고 지역인재전형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비수도권 최상위권 수험생의 수능 최저 충족 여부는 작년보다 더 중요해진 상황이다.

현재 내년도 비수도권 26개 의대(일반전형 기준)에서는 수시모집 지역인재전형으로 뽑는 801명 가운데 773명(96.5%)에게 수능 최저 등급을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가장 기준이 높은 대학은 수능 4개 영역의 등급 합이 5등급 이내여야 한다고 규정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과학탐구에서 수능 최저 미충족이 상당히 늘어날 수 있다"며 "수험생들은 최종 발표되는 2025학년도 모집 요강에 따라 의대 수능 최저 기준이 어느 전형에 적용되는지, 기준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