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된 기준금리 '3.5%'…성장률 2.5% 상향, 금리인하 더 멀어졌다

2024-05-23 16:40
연 기준금리 3.5% 11차례 연속 동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 2.1→2.5% 상향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2.6% 유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부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예상 밖 경기 호조에 물가 불안도 지속되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다시 한번 동결했다.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는 등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여전해 금리 정상화를 위한 피벗(통화정책 전환) 시점이 더 불투명해졌다.  

23일 한은 금통위는 상반기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유지했다. 11차례 연속 동결이다. 지난해 1월부터 1년 4개월째 같은 금리 수준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통화정책방향 결정문(통방문)에서는 경제성장세 개선으로 '물가 상방 리스크가 커졌다'는 진단이 추가됐다. 지난달 통방문에는 없던 표현이다.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예상을 훨씬 웃도는 1.3%를 기록하면서 민간 소비 등 수요 측 물가 압력이 높아졌다는 판단으로 해석된다. 

또 한은은 수정 경제 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2.5%로 0.4%포인트나 높였다. 정보기술(IT) 업황 개선과 미국 경기 호조 등 이유로 순수출이 0.3%포인트, 민간 소비 등 내수가 0.1%포인트 등 성장률을 끌어올릴 것으로 봤다.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2.6%를 유지했다. 민간 소비 성장률은 1.6%에서 1.8%로 높아지겠지만 완만한 소비 회복세와 정부의 물가 대책 시행 등을 감안하면 지난 2월 내놓은 전망치를 조정할 정도는 아니라는 분석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성장률 전망치가 올랐으니 물가 상승 압력도 커졌지만 정책을 통해 상쇄되는 부분 등을 고려할 때 기존 2.6%를 바꿀 정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여전한데 경기 상황은 성장률 전망치를 올려 잡을 정도로 낙관적이다. 결과적으로 기준금리를 내리기가 더 어려운 여건이 조성됐다. 

이 총재는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가 있지만 (성장률 상향 조정에 따른) 물가의 상방 압력이 있어 인하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은 이전보다 훨씬 더 커졌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인 인하 시점을 묻는 질문에는 "(하반기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3~2.4%로 내려가는 추세가 확인되면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에둘러 말했다.

이 총재 태도가 종전보다 더 신중해졌다는 게 중론이다. 한은이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릴 가능성에 대해 그는 "(한·미 간)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안 된다는 건 아니지만 환율이나 자본 이동 등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상황을 보면서 하반기 통화정책을 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