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힙'한 문화로 자리잡자...MZ세대 '템플스테이' 이용률 '쑥'

2024-05-14 00:00

청 템플스테이 [사진=한국불교문화사업단]

최근 MZ세대 사이에서 '불교'가 '힙'한 문화로 자리잡았다. 불교문화박람회가 MZ 핫플로 떠오르는가 하면, 올해 부처님오신날 연등회에는 불교 EDM 난장이 펼쳐지기도 했다. 불교문화에 관한 청년들의 관심은 '템플스테이'로 이어졌다. 번뇌와 고민을 내려놓는 정신수양 목적이었던 '템플스테이'는 젊은층의 수요에 맞춰 청춘과 연애 테마로 변화하는 모습이다.

14일 대한민국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에 따르면 템플스테이에 참여한 20·30대 비중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2.1%에서 2023년 40.7%로 뛰었다. 연령대별로 2019년에는 50대가 20.1%로 가장 많았고, 20대 17.9%, 30대 14.2%, 40대 13.5% 수준이었다. 그러나 2023년에는 20대 22.4%, 30대 18.3%로 1, 2위를 차지하며 역전했다. 50대 17.5%, 40대 14%를 기록했다.

20·30대 사이에서 바쁜 현대사회를 벗어나 조용한 절에서 힐링하는 것에 대한 갈망은 이들이 '템플스테이'를 찾는 계기가 됐다.

템플스테이를 찾는 연령대가 낮아진 만큼 템플스테이 상품도 한ㅊㅇ 다양해졌다.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은 오는 30일까지 대학생을 대상으로 1박 2일 사찰 체험 프로그램 '청춘 템플스테이'를 진행 중이다. 전국 100여개 사찰에서 진행되는 청춘 템플스테이는 학업, 경쟁, 취업 스트레스에 지친 청년들이 사찰에서 심신 건강을 도모하고 전통문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해 봄부터 서산 보원사에서는 '백패킹 캠플스테이'를 진행하고 있다. 15명 안팎의 인원이 모여 등산을 하며 산에 버려진 쓰레기를 줍는다. 사찰음식 만들기와 연잎차 다도, 숲속 필라테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사찰 시설을 활용한 기존 템플스테이 형식에서 벗어나 자연과 호흡하며 불교문화를 알린다는 점에서 캠플스테이는 급부상하고 있다.

청춘남녀들의 연애를 장려하기 위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도 있다. 절에서 사찰음식을 먹고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좋은 결실을 맺을 수도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은 30대 미혼 남녀의 자연스러운 만남의 장을 제공하기 위해 최근 인천 강화군 전등사에서 1박 2일 템플스테이 '나는 절로'를 진행했다. 남녀 각 10명씩 모집했는데, 남성 147명 여성 190명이 지원했을 정도로 큰 호응을 얻었다.

나는 절로 프로그램 참가자들은 결혼과 아이 양육, 건전한 가족관 등에 대한 강의를 들으며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갖는다. 아침 일찍 일어나 산책하면서 자연스럽게 가까워지기도 한다. 실제 '나는 절로' 3기 전등사 편에서는 참가자 10쌍 가운데 4쌍의 커플이 성사되기도 했다. 

대원사는 BTN불교TV와 함께 신혼부부와 예비부부를 위한 템플스테이 '절로 갈까'를 지난달 27일부터 1박 2일간 선보였다. 커플 10쌍을 초청해 레크리에이션과 특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커플들은 해당 프로그램에 참여해 상호 존중과 소통법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은 코레일 관광개발과 함께 오는 6월 8일 ‘템플스테이 테마 기차여행’ 상품을 선보인다. 충청도와 경북 등 8곳 템플스테이 사찰을 체험하고 팔도장터와 관광지를 둘러보는 상품이다. 기존 운행하는 열차에 좌석을 판매하는 방식에서 열차 전체를 템플스테이를 주제로 운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불교문화사업단 관계자는 "올해 불교박람회를 통해서 불교 문화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느낀다"며 "지친 청년들의 마음을 위로하고 청년들이 다양한 문화를 향유할 수 있게 지원하고자 청년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