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33%로 가장 높아…출산율, 30년 전 반토막
2023-09-17 17:15
2021년 1인 가구, 717만6000가구
"혼자 사는 이들이 늘고 아이 울음소리는 잦아들었다."
달라진 대한민국의 현재다. 30년 만에 1인 가구가 두 배 늘어나는 사이 합계출산율은 절반으로 줄었다.
2021년 기준 국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 중 약 3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3가구 중 1가구는 1인가구인 셈이다.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급감했다.
복지부가 사회보장기본법에 따라 2013년부터 발간해온 사회보장통계집에는 국가승인 통계와 다양한 실태조사 결과, 행정통계를 종합 분석한 내용이 담겼다.
통계집에는 △가족과 생애주기 △일과 소득보장 △삶과 사회서비스 △사회재정 등 4가지 범주 14개 분야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51개 세부 정책영역, 총 259개 지표로 구성됐으며 아동건강발달, 청년고용, 최저소득보장, 주거의 안전성 등 167개의 대표 지표를 통해 사회 현상과 시대적 변화를 엿볼 수 있도록 했다.
반면 출산율은 30년 전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합계출산율은 0.81명으로 한 세대 전인 1991년(1.71명)과 비교하면 반 토막 수준이다. 지역별로 보면 세종의 합계출산율이 1.28명으로 가장 높았고 전남 역시 1.02명으로 1명을 넘었다.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은 곳은 서울로 세종의 절반 수준인 0.68명에 불과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공사회지출 비율은 2017년 10.1%에서 지난해 14.8%로 상승했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21.1%와 비교하면 6% 포인트 이상 낮았다. 15∼29세 청년고용률은 2021년 44.2%에서 지난해 46.6%로 2.4%포인트 높아졌다.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률은 66.9%(남자 60.6%·여자 71.9%)였다.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동시에 수급하는 비율은 2021년 44.7%로 매년 증가 추세다.
만성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비만율은 2021년 37.1%(남성 46.3%·여성 26.9%)로 1년 전인 2020년(38.3%) 대비 소폭 감소했다. 전 연령층에서 비만도가 낮아진 가운데 40대만 39%에서 42.9%로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