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한중일' 정상회의 적극 추진...임기 중 韓진출 모든 나라 정상 만날 것"
2023-09-12 11:49
국무회의 모두발언...中리창 총리를 日기시다 총리보다 먼저 언급

윤석열 대통령은 12일 "이번 순방 기간에 리창 중국 총리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재개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며 "한국은 의장국으로서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지난 5일부터 5박7일간 진행된 인도네시아·인도 순방 성과를 설명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국무회의 모두발언은 생중계됐다.
특히 윤 대통령은 순방 기간 언급했던 '한‧일‧중'이 아닌 '한‧중‧일'이라고 두 차례 표현했다. 또 중국의 2인자 리창 총리를 일본의 정상 기시다 총리보다 먼저 언급한 것에도 주목된다.
이에 윤 대통령이 순방을 마치고 한‧일‧중이 아닌 한‧중‧일로 표현한 것을 두고 순방기간 2차례 있었던 리 총리와의 회동에서 일정 성과가 있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관련해 윤 대통령은 "저는 리창 총리와 만나 북한 문제가 한‧중 관계에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북핵 문제가 심각해질수록 한‧미‧일 3국 관계가 더 공고해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언급하고 한‧중 관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중국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책임있는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회담 발언 내용을 재차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경제 대외의존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우리나라는 해외 시장을 안방처럼 누비고 다녀야 경제에 활력이 돌고 일자리가 생긴다"며 "수출과 기업의 해외 진출이 그래서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저는 취임 직후부터 늘 국내 국정운영과 대외 관계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중요성을 강조해왔다"면서 "일관된 국가 기조 없이는 국가 간 협력과 민간의 통상 관계가 불가능하다. 불합리한 정부 규제와 관여 그리고 예측불가능성은 기업의 투자와 교역을 꺼리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약 1년 4개월 동안 전 세계 50여 개 국가의 정상들과 만나 양자 회담을 했다"며 "앞으로 재임 중에 대한민국 국민과 기업이 진출해 있는 모든 나라의 정상들과 만나고 국민과 기업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각오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