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장관급 연사 초청해놓고 당일 취소 논란..."제반상황 종합 검토"
2021-12-21 17:19

[사진=외교부]
정부가 대만 장관급 관료를 한국 정부 행사의 연설자로 초청했다가 당일 취소 통보를 한 것에 대해 "제반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정례브리핑에서 '이번 결정이 양안관계를 고려한 것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밝혔다. 최 대변인은 "우리 정부는 대만과 비공식적 실질교류를 지속 증진해 나간다는 기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며 "이러한 우리 정부의 기본입장에 대해서는 우리 외교부는 물론 4차 산업혁명위 등 유관 부문도 잘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대만언론에 따르면, 탕펑(오드리 탕) 대만 정부 디지털담당 정무위원(장관급)은 한국 대통령 직속 4차 산업혁명위원회로부터 화상 연설을 해달라는 요청을 지난 9월에 받고 관련 준비를 해왔으나, 행사 당일 새벽에 취소 통보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어우장안 대만 외교부 대변인은 "장춘유 외교부 동아태 부국장은 대만 정부를 대표해 홍순창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부대표를 소환해 이 문제에 대해 공식 항의했다"고 말했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의 원칙에 따라 대만을 자국의 영토라 주장하며 최근 2년간 인근에서 군사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대만 정부 관계자들이 타국과 공식적 교류를 하는 것에도 반대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친중 진영이 싹쓸이에 성공한 홍콩 입법회(의회) 선거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 대변인은 입법회 선거에 대한 질문에 "홍콩은 우리나라와 밀접한 인적·경제적 관계를 갖고 있는 지역인 바, 우리나라는 이번 선거 등 홍콩 관련 동향에 대해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이 홍콩의 선거제를 대대적으로 개편한 이후 처음으로 지난 19일 실시된 홍콩 입법회 선거에서는 친중 진영이 전체 90석 중 89석을 휩쓸었다. 이에 대해 G7은 외교장관 공동성명을 통해 우려를 표했고,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도 공동 성명을 내고 "홍콩 선거제도의 민주적인 요소가 무너진 것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