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삼국지] 전문가 제언 “업계 M&A, 규모의 경제·시너지 효과…인재·기술 개발 투트랙 필요”
2021-09-15 05:25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이 대규모 인수·합병(M&A)으로 인해 메모리, 시스템 등 전 부문에서 ‘3강 체제’가 구축되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국내 기업들도 신중한 M&A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엔지니어 등 인재 발굴 및 신기술 확보에도 주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종호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은 최근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대규모 M&A가 활발한 이유를 두 가지로 꼽았다. 그는 "이러한 양상은 기업들이 규모의 경제, 시너지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규모를 늘려 시장 지배력뿐만 아니라 업계 강자가 되어 누릴 수 있는 것을 얻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각 반도체 기업들은 저마다 기술력에서 우위에 있는 부분이 다르다. 이 때문에 인수·합병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고, 부가가치를 더 올릴 수 있다. 그런 차원에서 인수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장은 국내 반도체 기업들도 신중한 M&A에 나서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그는 "지금 시점에서는 미래 포트폴리오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기업체 인수를 고민하는 게 회사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다만 인수 대상이 반도체가 될지, 반도체 파생 기술이 될지는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도시바에 있던 훌륭한 엔지니어들이 키옥시아에 남기도 했지만, 마이크론으로 많이 이직했다. 마이크론은 기술력으로 탄탄한 회사가 됐다"며 "국내 기업들도 기술적으로 탁월한 인재가 많이 필요한 시점이다. 투자에 따른 효과를 보려면 인재가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안진호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와 관련, "각 회사가 주력으로 하는 제품이 무엇인지, 어떤 시장을 타깃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M&A 대상도 다양한 옵션을 가져갈 수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계속 가져가려면 새로운 기술 개발이 활성화돼야 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봤을 때 그런 부분이 조금 부족하다는 얘기가 지속돼 왔다"고 밝혔다.
이어 "사실 마이크론이 국내 기업을 따라잡을 거라는 얘기도 약 2년 전부터 나왔다. 전략상의 문제라고 본다. 엔지니어에게 얼마나 자율성을 주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전략적으로 만들어주는지 중요하다"며 "장기적인 투자도 이뤄져야 이른바 초격차를 가져갈 수 있다. 이번 마이크론 사례가 단기적인 해결책으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는 걸 보여준 단편적인 사례가 아닌가 싶다"고 강조했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반도체 시장은 얼마만큼 기술력이 앞서 있는지, 투자를 얼마나 했는지가 중요하다. 기술이 없는 상황에서 투자하면 적자를 본다"면서 "국내 기업들은 앞선 기술 개발을 외국 기업보다 먼저 해야 한다. 또한 기술 개발이 된 시점에서는 과감히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텔의 경우, 탄소 중립 때문에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어 이에 따라 파운드리 분야에서 새롭게 열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염두에 둔 행보"라며 "국내 기업들이 기술력에서 외국 기업에 비해 밀리고 있다고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설명했다. <기획 끝>
이종호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전기전자공학부 교수)은 최근 전 세계 반도체 시장에서 대규모 M&A가 활발한 이유를 두 가지로 꼽았다. 그는 "이러한 양상은 기업들이 규모의 경제, 시너지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규모를 늘려 시장 지배력뿐만 아니라 업계 강자가 되어 누릴 수 있는 것을 얻으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각 반도체 기업들은 저마다 기술력에서 우위에 있는 부분이 다르다. 이 때문에 인수·합병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고, 부가가치를 더 올릴 수 있다. 그런 차원에서 인수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소장은 국내 반도체 기업들도 신중한 M&A에 나서야 한다고 의견을 밝혔다. 그는 "지금 시점에서는 미래 포트폴리오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기업체 인수를 고민하는 게 회사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다만 인수 대상이 반도체가 될지, 반도체 파생 기술이 될지는 알 수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도시바에 있던 훌륭한 엔지니어들이 키옥시아에 남기도 했지만, 마이크론으로 많이 이직했다. 마이크론은 기술력으로 탄탄한 회사가 됐다"며 "국내 기업들도 기술적으로 탁월한 인재가 많이 필요한 시점이다. 투자에 따른 효과를 보려면 인재가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안진호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제고와 관련, "각 회사가 주력으로 하는 제품이 무엇인지, 어떤 시장을 타깃으로 할 것인지에 따라 M&A 대상도 다양한 옵션을 가져갈 수 있다"며 "국내 기업들이 경쟁력을 계속 가져가려면 새로운 기술 개발이 활성화돼야 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이 봤을 때 그런 부분이 조금 부족하다는 얘기가 지속돼 왔다"고 밝혔다.
이어 "사실 마이크론이 국내 기업을 따라잡을 거라는 얘기도 약 2년 전부터 나왔다. 전략상의 문제라고 본다. 엔지니어에게 얼마나 자율성을 주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분위기를 전략적으로 만들어주는지 중요하다"며 "장기적인 투자도 이뤄져야 이른바 초격차를 가져갈 수 있다. 이번 마이크론 사례가 단기적인 해결책으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는 걸 보여준 단편적인 사례가 아닌가 싶다"고 강조했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반도체 시장은 얼마만큼 기술력이 앞서 있는지, 투자를 얼마나 했는지가 중요하다. 기술이 없는 상황에서 투자하면 적자를 본다"면서 "국내 기업들은 앞선 기술 개발을 외국 기업보다 먼저 해야 한다. 또한 기술 개발이 된 시점에서는 과감히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텔의 경우, 탄소 중립 때문에 전기자동차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어 이에 따라 파운드리 분야에서 새롭게 열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염두에 둔 행보"라며 "국내 기업들이 기술력에서 외국 기업에 비해 밀리고 있다고 판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설명했다. <기획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