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속 시한폭탄, 노후건축물②] 불나고 무너진 늙은 건물들…원인은 언제나 '인재(人災)'였다

2021-07-26 06:00
노후화에 안전 불감증…하루 화재 3건씩
인화성·화학 물질 취급하는 공장 더 위험
산업단지 내 발생시 대형화재로 번지기도

1960년대 이후 경제성장기를 거치며 우후죽순 들어선 도심 건축물. 30~50년이 지나면서 건축물은 급속히 늙어가고 있다. 도시는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그리고 새롭게 변화하고 있지만 이면을 들여다보면 낙후된 건물과 슬럼화된 골목은 시한폭탄처럼 국민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건축물의 노후화는 여러가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데, 가장 대표적인 게 안전사고다. 안전은 국민의 생존이 걸린 문제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노후 건축물 안전에 관련된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이미 한계는 드러나고 있다. 26일부터 5주 동안 매주 월요일, 노후 건축물의 부실한 관리 실태와 개선 방향을 짚어본다. <편집자주>
 

2018년 6월 서울 용산구에서 상가 건물이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붕괴 전후의 4층 상가 건물 모습. [사진=연합뉴스]


상가, 학교, 건물 할 것 없이 노후건축물은 붕괴와 화재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돼 있다. 여기에 정부와 지자체의 외면, 건물 관리자의 관리 소홀, 이용자의 무관심이 맞물리면 걷잡을 수 없는 인적·물적 피해를 낳을 수밖에 없다. 노후건축물의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2018년 서울 용산구에서는 4층짜리 상가 건물이 붕괴돼 세입자가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966년 준공된 이 상가건물은 현재의 건축물 인허가 요건이라면 준공허가가 나지 않았을 정도로 낡았다. 사고 당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붕괴 원인이 건축물 노후화에 있다고 분석했다.

붕괴 위험에 퇴거조치된 강남구 대종빌딩 모습 [사진=연합뉴스]


6개월 뒤에 서울 강남구 대종빌딩은 기둥이 균열돼 퇴거조치가 단행됐다. 외관상으로 문제가 없어 보이던 건물은 2층 주(主)기둥에 금이 가기 시작했고, 안전진단에서 최하위인 E등급을 받았다.

1991년 준공 이후 27년이 지난 이 건물은 2층에서 4층까지 건물을 떠받치는 기둥 안쪽 철근에서 시멘트가 떨어져 나가는 등 붕괴 직전이었다.

2019년 11월 광주 동구 산수동의 한 초등학교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은 불에 탄 교실 내부 모습.[사진=광주 동부소방서 제공]


교육현장에서도 노후화로 인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시설 노후화에 따라 누전과 단락, 합선 등 전기가 원인이 된 경우가 많다.

지난 8일 제주 노형동의 한 고등학교 식물재배실에서 발생한 화재도 LED조명 전기배선 교체 과정에서 전기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대전 서구의 한 초등학교 화재 역시 노후화한 변압기의 과부하로 인한 사고였다. 오래된 변압기가 학교의 난방 등 전기 용량을 감당하지 못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7일 경기 의정부시 용현산업단지 내 양말공장에서 불이 나 검은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목재, 비닐 등 인화성 물질뿐 아니라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곳이 많은 공장은 특히 위험하다. 안전불감증과 노후화가 맞물려 전국에서 크고 작은 화재가 하루 3건가량 발생한다.

지난 2012년 한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가 인근 공장으로 번져 대형화재로 확대됐던 경기 의정부시 용현산업단지에서는 17일 또다시 대형화재 피해가 발생했다.

용현산단 내 양말공장에서 시작된 불이 인근 공장으로 옮겨 붙으면서 건물 4동과 창고 1동이 불에 탔다. 일부 공장들이 조립식 패널로 지어져 있고 건물과 건물 간격이 좁아 피해가 더 컸다.

앞서 지난 1일에는 충북 음성군 대소면 한 플라스틱용기 제조공장에서 불이 났다. 전기히터 작업을 위해 기계를 작동하는 과정에서 전기 합선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잦은 화재에 소방청은 화재 예방 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사실상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건물이 오래돼 노후화됐고 입주 기업들이 소방 시설 확대 설치에 필요한 예산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달 1일 충북 음성군 대소면 플라스틱 용기 제조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연기가 치솟고 있다. [사진=충북소방본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