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률29% 나훈아의 비밀(4)] 나훈아가 말한 위정자는 누구인가

2020-10-02 10:26



 

[지난달 30일 나훈아의 비대면 공연 영상[KBS2 화면 캡처]]

차례상에 오른 '나훈아 화두'

한가위 차례상과 가족 밥상 주위에 뜻밖에 '나훈아 화두'들이 번졌다. 30일 평균 시청률이 29%나 된 '나훈아 대한민국 어게인 언택트공연 중계(KBS2)'에서 나온 말들을 곱씹느라 바쁘다. '역사책에서 왕이나 대통령이 국민때문에 목숨을 걸었다는 사람은 못봤다'고 한 말이 주목을 받더니, 이번엔 '국민이 힘 있으면 위정자가 안 생긴다'고 한 말이 관심의 꼬리를 물고 있다. 이를 소신발언이라 추켜 세우면서, 나훈아 발언을 의미심장한 정치적 의견으로 몰아가기도 한다.

언론들은 '왕과 대통령도'라는 주어에서 왕은 빼고 대통령만 언급하면서 대통령이 국가를 주체적으로 이끌어가지 못한다는 메시지로 읽어내려 했다. 하고 싶었던 말을, 나훈아의 입을 빌어 증폭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듣고싶은 말만 듣는, 최근의 '확증편향 증후군'같은 현상이 여기서도 벌어진 것이다. 필자는 이 말이 나온 세 가지 맥락을 상기시키면서 나훈아를 '정치가'처럼 봐선 안된다고 말한 바 있다.

'목숨을 걸지않은 대통령' 시비

첫째 그 말은 대한민국 의료진이 코로나19에 '목숨을 걸고' 대응하여 세계가 주목하는 결과를 낸 것을 격려하고 위로하는 말들의 '일부'였다. 이것이 국민들이 스스로 국가위기에 대처하는 지혜와 행동력을 지녔던 우리의 역사적 전통에 닿아있다고 찬사를 보낸 것이다. 그 과거 사례로 IMF 때 금 모으기나 유관순, 논개, 윤봉길, 안중근의 목숨건 구국(救國)행위를 들기도 했다. 왕과 대통령을 거론한 건, 국가 지배자나 통치자가 하지 못했던 일을 민(民)이 해냈다는 자부심을 강조하기 위해 일종의 '들러리'로 세운 것이다.

둘째 나훈아가 공연 타이틀을 '대한민국 어게인'으로 잡은 점이나, 그간에 정치적인 유혹을 뿌리쳐온 점, 재벌의 사적인 공연요구도 거부한 점, 5.18 희생자의 어머니를 위로하는 노래를 만들어 당시 전두환 권력의 제지를 받은 점 등 그가 지금껏 정의를 실천해온 방식으로 볼 때 굳이 공영방송을 통한 공연 중에 대통령에게 직격탄을 날리는 언행을 했을까 하는 의문 제기다.

셋째 이 가수에게 그런 마음이 있었다 하더라도, 그는 '현재의 정권이나 대통령'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라는 수식어 하나를 분명히 붙여놓고 말했다. 즉 '역사적으로'란 말을 앞에다 붙여, 이것이 현 정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아님을 이미 강조하고 있다. 이런 맥락을 꼼꼼히 읽는다면, 나훈아가 정권에 대한 쓴소리를 뱉었다는 차원보다, '국민 속풀이'용의 시원한 말을 꺼내는 가운데, 대통령이 슬쩍 언급되었다고 보는 것이 상식적이지 않을까 한다. 이런 말 정도라면 흥분할 일도 통쾌해야할 일도 또 분노할 일도 아니다.

국민의 힘(?)과 위정자 비판론

이 말이 회자되자 언론은 다시 '국민이 힘이 있으면 위정자들이 생길 수가 없다'고 한 말을 부각시켰다. 이 말은 두 가지 점에서 미묘한 뉘앙스를 풍긴다. 하나는 '국민이 힘'이라는 대목이 지금 야당의 당명(黨名)으로 쓰이는 '국민의 힘'을 쉽게 연상시킨다는 점이다. 이렇게 공교롭게 겹치게 된 것이, 나훈아의 의도라기 보다는 정당의 이름을 잘 지은 결과로 보는 것이 맞지 않을까. 맥락으로 봐서 '국민의 힘이 있으면...'이라고 들리기도 하지만, 굳이 언론들이 '국민이 힘이 있으면...'이라고 읽은 까닭 또한 이것이 야당 명칭과 일치하면 다른 의미가 생겨나는 것을 경계했기 때문이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은 '위정자'이다. 나훈아가 위정자를 어떤 의미로 썼는지 유추해볼 수는 있지만, 정상적인 문장으로 이해하자면 거기에 쓰이기에는 다소 어색한 낱말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위정자는 爲政者로, '정치를 하는 사람'이라고 풀지만 실제로는 '국가행정을 다루는 사람'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관용적으로 볼 때 위정자는 대통령과 같은 국가지도자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즉 정치인과 위정자의 뉘앙스가 갈라져 있는 셈이다. 정치인은 대개 국회나 지방의회 활동을 하는 사람을 가리키고 위정자는 행정 수반, 즉 대통령을 가리키는데 쓰는 것이다. 

위정자(爲政者)였을까, 위정자(僞政者)였을까, 위정자(危政者)였을까

나훈아가 쓴 말이 과연 이 위정자(爲政者)였을까. 그랬다면 '국민이 힘이 있으면 대통령들이 생길 수가 없다'라는 말이 되어 아리송한 문장이 되어버린다. (내각 중심의 국가체제로 가야한다는 말이 되어버릴 수도 있다.) 여야 정치인들을 포함시킨다 하더라도 '국민이 힘이 있으면 대통령이나 여야 정치인들이 생길 수가 없다'는 말이 되어 더 어색하다. 국민이 힘이 있으면 정치가 아예 필요없다는 말이 되기 때문이다. 나훈아가 이런 과격하고 물의를 일으킬 수 있는 주장을 했을 리는 없다.

일상적으로 쓰는 위정자(爲政者)의 뜻을 살짝 오해했거나 아니면 의도적으로 다른 의미의 말로 변주해 썼을 가능성이 높다. 그가 말한 위정자는 위정자(僞政者, 거짓을 일삼는 가식적인 정치가)나 위정자(違政者, 비위(非違)를 저지르는 나쁜 정치가), 혹은 '위정자(危政者, 위태로운 정치를 하는 정치가'를 가리키고 있었을 수 있다.

언론은 '위정자'가 무슨 뜻인지 초점을 맞추지는 않았다. 다만 뉘앙스로 볼 때 '국민이 힘이 있으면 (나쁘거나 무능한) 위정자들이 생길 수가 없다'고 짐작해서 읽었을 것이다. 하지만 나훈아는 결코 어떤 의도를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고, 그렇기에 이 말이 누구를 겨냥하는지, 정치 자체의 소모적인 행위를 비판하는지 알 수 없도록 해놓았다. 어쩌면 어색한 실언(失言)처럼 느껴지도록 해놓은 것인지도 모른다. 언론이나 정치인들은 아리송한 맥락에서 스스로의 입맛대로 해석을 취해 감탄하고 반성하고 비판한다. 

무엇보다, '종신(終身) 문화예술인'을 천명해온 한 가수에 대한 국민 열광(시청률 29%)에 편승하여 제 정치적 사심이나 의지를 실어나르고자 하는 풍경은 이번 한가위 달님(이 말을 오해하지 않기 바란다)이 내려다보고 있는 가운데 펼쳐지는 한 바탕의 촌극 같다. 그가 충정을 담아 지치고 상심한 국민을 위로한 말들을 열심히 뒤적여 국민들을 심심하지 않게 해준 공로는, 인정할 만하다. 

                                                  이상국 논설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