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점진적 금리 인상 예고...신흥국 경제 '빨간불'

2018-09-27 15:51
9월 FOMC에서 0.25%p 인상...2019~2020년까지 인상 예고
달러화 부채 상환 부담·자금 유출 우려에 신흥국 경제 적신호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사진=연합/로이터]


올해 들어 세 번째 금리 인상을 단행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12월에 이어 2019년에도 점진적인 추가 인상 가능성을 예고했다. 미·중 무역전쟁이 계속되는 데다 금리 인상에 따른 달러 강세 압박까지 겹치면서 연초부터 불안정한 환율로 부침을 겪었던 신흥국 경제에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 2020년까지 점진적 인상 예고...'중립금리' 넘어설까

연준이 25~26일(이하 현지시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현행 1.75~2.00%에서 0.25%p 높은 2.00%~2.25%로 높아졌다. 미국 기준금리가 2%대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처음이다.

이번 FOMC에서 연준은 2018년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기존 2.8%에서 3.1%로 상향 조정했다. 현재 미국의 실업률은 3.9%로 1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포브스 등 경제매체들은 전했다. 연준의 전망대로 2019년 실업률이 3.5%대로 떨어지면 향후 3년간 인플레이션은 목표치인 2%에 가까운 수준으로 완만하게 상승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고용률과 경제 성장률이 금리 인상의 기준이 되는 만큼 향후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에 관심이 쏠린다. 일단 오는 12월 18~19일 양일간 열리는 FOMC에서 한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연내 3~4차례 인상'을 예고했던 연준의 목표가 실현되는 셈이다. 

이미 2019년 3차례, 2020년 1차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내비친 상태다. 매번 0.25%p씩 목표대로 인상한다면 기준금리는 3.25∼3.50%로, 중립금리(인플레이션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넘는다.

스테이트 스트리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수석 투자 전략가인 마이클 아론은 "그간 연준의 통화 정책에서 '완화적(accommodative)'이라는 표현이 삭제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렸다"며 "중립금리 쪽으로 나아간다는 점을 잠재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 강달러에 미·중 무역전쟁 변수까지...신흥국 경제 비상

통상 기준금리가 오르면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부터 미국 기업의 제품이 해외 경쟁력을 가지려면 약달러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연준의 통화 정책을 비판해온 이유다. 특히 연초부터 환율 불안정성을 해소하지 못한 신흥국에는 시한폭탄이 될 수 있다.

터키 리라화와 브라질 헤알화, 남아프리카공화국 랜드화 등 주요 신흥국의 환율은 올해 들어 10% 이상 오른 상태다. 환율이 올랐다는 것은 그만큼 화폐 가치가 하락한 것이다. 신흥국으로서는 상대적으로 달러화 표시 부채에 대한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는 것이다. 신흥국 내 자금 유출이 심화될 위험성도 높다.

아시아개발은행(ADB)도 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호주 등 일부 선진국을 제외한 아태 지역 45개 국가와 지역의 올해와 내년 경제 성장률은 각각 6%, 5.8% 수준을 보이겠지만 미국 기준금리 인상, 미국과 중국 간 무역 갈등이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흥국에 다수 제조업체들이 포진해 있는 만큼 글로벌 통상 갈등이 가속화될수록 생산 감소와 수출 타격이 이어지면 경제 하방 압력을 받을 수 있다. 불확실한 국제유가 전망도 변수로 남아 있다. 강달러 외에도 하방 리스크가 산재해 있는 셈이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의 금리 인상 조치가 다수 신흥국을 통화가치 방어를 위한 긴축 정책에 처하게 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