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흥국 달러 표시 부채 증가 가속화...美금리 인상 등 강달러 관측에 '긴장'
2018-05-26 00:00
美연준 의사록 "현재 전망대로라면 조만간 다른 단계 밟아야"
6월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인상 횟수와 속도 주목
신흥국 달러화 부채 증가 가속화..."10년 새 2배 늘어"
미 국채금리 상승 등 강달러 요인 많아 신흥국 경제 타격 우려
6월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인상 횟수와 속도 주목
신흥국 달러화 부채 증가 가속화..."10년 새 2배 늘어"
미 국채금리 상승 등 강달러 요인 많아 신흥국 경제 타격 우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사실상 6월 기준금리 인상 방침을 기정사실화하면서 달러 강세에 따른 신흥국의 달러 표시 채무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대부분의 신흥국이 통화 약세 위기를 겪는 가운데 최악의 경우 연쇄적인 디폴트(채무 불이행)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우려가 나온다.
◆ 美연준 6월 기준금리 인상에 무게...인상 횟수 관건
CNBC의 24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패트릭 하커 미 필라델피아 연방은행 총재는 언론 인터뷰를 통해 "연준은 올해와 이듬해에 기준금리를 각각 3차례 인상한 뒤 경제가 균형 상태를 보이면 2019년 이후에는 금리 인상을 멈출 수 있다"고 말했다. 매파 성향의 하커 총재는 인플레이션 수준에 따라 올해 금리 인상이 4차례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현재 시장에서는 연준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 횟수에 주목하는 모양새다. 당초 3차례 인상이 유력했으나 경제 성장률과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 수준에 따라 4차례까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6월에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연준 지도부 대부분이 비둘기파 성향을 가진 만큼 중장기적으로는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6월 FOMC는 내달 12~13일 열린다.
연준의 긴축 행보 속에 달러 강세 가능성이 높아지면 달러 표시 부채를 갖고 있는 기업들의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했을 당시보다 달러 가치가 높아지면 변제해야 할 금액이 그만큼 커지는 탓이다. 달러 표시 부채가 또 다른 금융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특히 신흥국이 안고 있는 달러 표시 부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달러 강세가 가속화될수록 신흥국 시장 전체에 타격이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아르헨티나 페소화, 터키 리라화 등 신흥국 통화 가치가 꾸준히 하락하는 상황에 강달러가 지속되면 경제 위기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지난 4월 30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신흥국이 보유한 달러 표시 부채는 3조 600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10% 상승한 것으로, 지난 10년간 2배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달러화를 포함한 신흥국의 신용 대출은 2017년 4분기에 전 세계 외화 부채 규모의 확대와 함께 가속화되고 있다고 BIS는 지적했다.
신흥국의 채무가 증가한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연준이 대규모 금융 완화를 실시하면서 세계적으로 금리 수준이 낮아졌기 때문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평가했다. 연준을 중심으로 대규모 완화 정책이 시행되면서 기축통화인 달러를 자금 조달에 적극 활용해온 결과가 반영됐다는 것이다. 신흥국들이 과거 외환 위기를 발판 삼아 외환보유액을 늘리는 등 적극 대비하고 있지만 달러 강세로 신흥국의 채무 부담이 높아지면 연쇄적인 디폴트도 가능하다는 지적이다.
미국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있는 것도 달러 강세 우려를 부추긴다. CNBC 등에 따르면 24일 현재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전날 대비 0.051%p 낮은 2.93% 수준을 보였다. 최근 심리적 저항선인 3%를 웃돌았던 데 비하면 숨고르기에 들어간 것처럼 보이지만 안심하기는 이르다.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화되면 비교적 건전한 신흥국에도 영향이 불가피한 탓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