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4조 규모 혁신·벤처기업 투자 펀드 조성
2017-11-30 15:31
정부가 내년 최대 1조1000억원을 출자해 총 4조원 규모의 혁신·벤처기업 투자펀드를 조성한다. 창업 초기 기업에 몰려 있는 투자금이 창업 후 5~15년이 지난 기업에도 흘러가도록 성장, 회수를 중심으로 투자 자금을 공급할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30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혁신창업 지원을 위한 정책금융 출자사업 운영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은행과 한국성장금융은 그동안 중소·벤처 기업 투자를 위해 연간 1조원 수준의 출자를 통해 매년 3조원 내외의 펀드를 조성해왔다. 하지만 민간참여가 저조하고 창업-성장-회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금융위는 산은·성장금융 출자사업을 개선해 민간참여를 확대하고 자금을 확대하기로 했다. 우선 산은과 성장금융은 내년 최대 1조1000억원을 출자해 4조원을 결성한다.
산은은 연간 8500억원을 출자하고 민간자금과 결합해 최대 3조원을, 성장금융은 연간 약 3000억원을 출자해 민간자금과 결합해 최대 1조원을 조성한다. 조성된 투자자금은 M&A, 사업재편, 기술금융, follow-on, 세컨더리 등에 쓰인다.
정부는 무엇보다 정책자금 의존도를 낮추고 민간자금 주도로 운용사 창의성과 차별화된 전략을 살릴 수 있도록 개선했다. 민간자금 주도의 벤처 생태계가 조성된 외국시장과 달리, 국내 벤처 투자시장은 정책자금 의존도가 높다. 2015년 벤처펀드 중 정책자금 비중을 보면 미국 12%, 유럽 21%, 한국 46%로 한국의 정책자금 비중이 앞도적으로 높다.
창업분야에 쏠려 있는 자금구성을 성장자금과 회수 분야로 확대한다. 2016년 성장단계별 투자규모를 보면, 산은과·성장금융의 자금은 초기(창업~5년)에 각각 51.8%, 33.0%가 쏠려 있다. 이로 인해 후속 투자 및 성장단계에 적합한 펀드와 자금이 부족한 실정이다. 통상 성장단계는 중기1과 중기2로 나뉘는 데 중기 1은 업력 5~10년, 중기2는 업력 10~15년이다.
성장 단계에도 자금이 흘러가도록 M&A 펀드를 중심으로 성장자금 공급이 필요한 규모와 적정 자산구성을 감안해 1500~3000억 규모의 개별펀드를 조성한다. 또 운용사의 기업가치 제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가치 제고에 대한 사전·사후적 관리를 강화하고 기업가치 제고 실적과 연계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회수시장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중소중견기업 M&A, 사업재편 분야, LP 지분 세컨더리 분야에 펀드를 조성해 회수 수단을 다양화하고 후속 투자 및 재투자를 적극 지원한다.
한편, 산은과 성장금융은 12월까지 상세 출자계획을 마련하고, 내년 상반기 중 운영체제 정비를 완료하고 출자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