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 차세대 한반도 포럼⑥] 퍄오룽궈 옌볜대 박사 "일대일로 한국 참여, 북핵이 최대 변수"
2017-11-23 19:0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성균중국연구소가 주최하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후원한 ‘성균중국연구소 2017 동아시아중국학대회’가 지난 17일 성균관대 600주년기념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는 △복합차이나리스크 탐색 △동아시아 중국연구 △성균 차세대 한반도 포럼 ‘중국과 신북방정책: 기회와 리스크’ 등 3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제3세션 ‘성균 차세대 한반도 포럼’은 한국과 중국의 젊은 학자 11명이 모여 지난 1년간 한반도 주요 이슈에 대해 논의하고 의견을 교류해 양국의 의견 차이를 좁혀보자는 취지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렸다.
퍄오룽궈(朴龍國) 옌볜(延邊)대 정치·공공관리학원 박사는 “중국은 일대일로 전략을 통해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운명·이익공동체를 확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퍄오 박사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의 환동해 경제권과 환황해 경제권 중, 환동해 경제권이 한국의 입장에서 더 전망이 좋을 것이다”고 평가했다.
그 이유로는 환황해 경제권은 중국의 발전한 연해 도시들과 마주하고 있어 조건은 좋지만, 이미 발전이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퍄오 박사는 “중국이 제시한 일대일로 전략의 4대 과제 중 하나는 중국·몽골·러시아 경제회랑을 건설하는 것”이라며 “이 과제는 중국의 ‘창지투(長吉圖, 창춘-지린-두만강) 개발·개방 선도지구 전략’과도 겹치고 문재인 대통령이 제기한 한반도 신경제 구상과도 연결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창지투 전략의 핵심은 두만강 지역의 국제협력을 통해 새로운 육·해 물류 운송 루트를 개척하고 북한의 남진강, 청진강을 활용해 해상 수출을 확대하면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도와 마찬가지로 북한의 개혁·개방을 목적에 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그는 지난해 2월 15일 중국 국무원이 창춘(長春)시를 중국·몽골·러시아 경제회랑의 교차점으로 지정해 창지투 전략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점을 언급하며 “창춘시는 일대일로 전략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었지만, 현재 창지투 전략과 일대일로 전략을 연결하는 ‘두만강 실크로드 경제벨트’ 건설을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퍄오 박사는 한국이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에 참여하면 굉장한 파급효과가 기대되지만, 변수는 북한임을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과 중국의 창지투 전략은 북핵 문제와 경제협력을 따로 분리해 볼 수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퍄오 박사는 “최근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중국도 대북제재를 강화하는 추세”라며 “현실적으로 한국의 일대일로 참여는 낙관할 수 없다”고 내다봤다.